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ousing Prices And Its Implication For Socio-spatial Inequality: The Case of Seoul, Korea

교육환경과 주택가격 간 관계와 사회공간적 격차에 대한 함의 -서울시의 사례연구-

  • Ha, Youngjoo (Research Institute of Basic Sciences) ;
  • Lee, Wonho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하영주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이원호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3.02.14
  • Accepted : 2013.02.23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tional environments and housing price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tructuring of socio-spatial dispar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duction with public features and functions plays a role of housing price determination and the rising price is privatized only to cause socio-spatial inequality. The study first examines how the education factors determine the housing price and cause increasing social inequality in Seoul at the macro level. It also carried out more detaile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and housing price with the case study of Yangcheon-gu, Seoul.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housing price and social disparity at various spatial scales. It also figured out th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of housing price determination as much as material features per se.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housing price and inequality needs to be dealt with not just socially but also in spati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housing price determination is not just technical research but an social science issue in the context of rising socio-spatial disparity. This study is of only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of promising related researches in the future and much more efforts will be needed.

본 연구는 교육환경이 형성하는 주택가격에 관한 문제를 사회공간적 격차(양극화)의 문제와 연관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본 연구는 공적인 특성과 기능을 가진 교육환경이 주택가격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주택가치의 사유화되는 과정 속에서 사회적인 격차를 초래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서울시 사례를 통하여 교육환경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결정, 그에 따른 소득(자산)의 공간적 격차 심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교육환경으로 인한 주택 가격의 결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들을 양천구를 사례로 실증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적 스케일에 따라 모두 교육환경, 주택가격 및 사회적 격차는 상관관계를 가진 분포패턴을 분명히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세부 실증분석에서도 교육환경이 주택상품 그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못지않게 가격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결국 교육환경과 교육성과 및 소득격차 간 연계성을 사회적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주택부문 연구에서도 단지 주택가격 결정이 기술적인 연구가 아니라 사회공간적 격차와 관련된 사회과학적 이슈로도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내용 자체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시론적이며 기초적인 연구로서 향후 더 많은 관련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