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작은도서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천지역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with Small Libraries: Focus on Bucheon Region

  • 이정호 (서울연구원 출간자료팀)
  • 투고 : 2013.02.18
  • 심사 : 2013.03.18
  • 발행 : 2013.03.30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의 요구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의 작은도서관들이 연계 및 협력하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천지역 내의 60개의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협력네트워크에 관한 관계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연결망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립작은도서관 간에는 연계가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중심성에서도 공립작은도서관이 상위그룹을 형성하였고 지방자치단체 등 외부 행위자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도 공공도서관과 공립작은도서관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립작은도서관은 대부분 고립되어 있어 연계가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exploratory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network among small libra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mall libraries in Bucheon region.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this study use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ublic small libraries has high density networks with other small libraries and performed a central role in the whole network. Private small libraries were, however, isolated in the whole network indicating their weak collaboration with other small librar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2005. <작은도서관 실태 조사 보고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2006. <작은도서관(문고포함)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07. <2006 작은도서관 조성 평가>.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0. <생활밀 착형 사립 작은도서관의 연계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연구소.
  5.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6. 손동원. 2002. <사회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7. 송호근, 김우식, 이재영 편. 2004. 한국사회의 연결망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75-192.
  9. 이재희. 2008.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일반행정 및 정책전공.
  10. 정현태. 2006. 작은 도서관 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공청회자료.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1: 217-253.
  11. 조윤희. 2010.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77-196.
  12. 차성종, 안인자, 윤소영. 2012.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53-178.
  1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전국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및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4. Adler, P. S. and S. W. Kwon. 2000. "Social Capital: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n Erik L. Lesser(ed.)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Foundationand Application, Boston: Burtworth-Heinemann.
  15. Austin, J. E. 2000. The Collaboration Challeng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6.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17. Gulzar, L. and B. Henry. 2005.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for Health Care Betwee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in Pakista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1(9): 1930-1943.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5.03.045
  18. Hanneman, R. A. and M. Riddle. 2005.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Riverside CA: University of California [online]. [cited 2012.10.10]. .
  19. Knoke, D. and J. H. Kuklinski. 1982. Network Anlaysis, CA: Sage Publications.
  20. Kearns, K. P. 2000. Private Sector Strategies for Social Sector Success: The Guide to Strategy and Planning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CA: Jossey-Bass.
  21. Murray, V. 1999.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n the Nonprofit Sector." in Shafritz(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Boulder: Westview Press.
  22. O'Toole, L. Jr. 1997. "Treating Networks Seriously: Practical and Research Based Agenda in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 45-52. https://doi.org/10.2307/976691
  23. Pfeffer, J. 1982.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 Theory. Marshfield, Massachusetts: Pitman Publishing.
  24. Scott, J. P. 2000.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Thousand Oaks, London: Sage Publications.
  25. Walter, U. A. and C. G. Peter. 2000. "A Template for Family-centered Interagency Collaboration." Families in Society, 81(5): 494-503. https://doi.org/10.1606/1044-3894.1051
  26. Wasserman, S. and K. Faust.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vol.48, pp.3,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81
  2. A Study on the Itinerant Librarian at Small Libraries vol.25, pp.4,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4.059
  3. 책이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vol.54, pp.3, 2020,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