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lan to Activate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 손동유 (명지대 국제한국학연구소) ;
  • 이경준 (명지대 기록과학정보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Maeul' is a concept connoting a community. As a place where ordinary people's lives are planned and realized, Maeul is the foundation of their daily lives as well as a place where they work, rest and enjoy pastime activities. In Korea, however, most Maeul communities are dismantled while going though the modern period representing colonization and developmental dictatorship. Growth-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urned into such adverse effects as individualization, a sense of loss and a sense of alienation. Recently, through innovations from below, Maeuls are restored, and through Maeul communities restored this way, every Maeul and many researchers carry out activities to build a healthy civil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uch a background. For a healthy restoration of Maeul communities and a sustainable operation of those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rchives where record the trace of Maeul members' daily lives and relations between those members.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is a place that contains each Maeul's lo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human relations as well. It is because this place can be space where Maeul members can record their histor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ke a better future.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can be made into various different models, which can be operated by reflecting the identity of a community such as main agents and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orientation of objects recorded. Rather than when Maeul communities exist as individuals, they can display more important functions and better effect when they form a network.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various and creative methodologi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government-led record management. Not only on the form of archives, but also all over their functions, such as collection, arrangement, classification, evalu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Maeul and Maeul residents' norms, orientation and realistic conditions should be thoroughly reflected. Starting from a chance to look back at individuals' lives,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will be a new chapter to restore and build a healthy community in our society and overcome social contradictions from below. Moreover,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has a great significance that it will broaden its prospect creatively with a new paradigm, not only mechanically turning the existing public sector-centered record management into a non-governmental sector.

'마을'은 공동체를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마을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이 기획되고 실현되는 곳으로서 일하고 쉬고 즐기는 장인 일상생활의 토대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식민지와 개발독재로 대변되는 근현대시기를 거치면서 마을공동체는 대부분 해체되었다. 성장위주의 산업화와 도시화는 개인주의, 상실감, 소외감 등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최근 들어 아래로부터의 변혁을 통하여 마을을 복원하고 이렇게 형성된 마을공동체를 통하여 건강한 시민사회를 형성해 나가자는 움직임이 각 마을과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마을공동체의 건강한 복원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마을 구성원들의 일상적 삶의 흔적과 구성원 사이의 관계를 담는 아카이브가 필요하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는 사람과 사람관계는 물론이고 마을의 지역적 특성을 함께 담는 곳이기도 하다. 아카이브는 스스로의 역사를 기록하고, 서로 소통하며, 미래를 만들어가는 공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는 주체, 대상기록의 특성, 목적, 지향 등 공동체의 정체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모델로 만들어지고 운영될 수 있다. 개별 마을공동체 보다는 이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했을 때 더 중요한 기능과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주도의 기록관리와는 다른 다양하고도 창의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는 아카이브의 형태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아카이브의 기능면에서도 수집, 정리, 분류, 평가, 관리, 활용 등의 전 단계에 걸쳐 철저하게 마을과 마을주민들의 규범과 지향 그리고 현실적 조건이 반영되어야 한다.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는 개인의 삶을 돌아보는 것을 시작으로, 우리사회의 건강한 공동체 복원과 형성을 위하여, 그리고 사회적 모순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극복하는 장이 될 것이다. 또한 기록관리 영역에서는 기존 공공영역 중심의 기록관리를 민간영역으로 기계적으로 전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지고 창조적으로 지평을 넓혀나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119
  3.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4.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vol.65,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20.65.089
  5.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vol.66,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57
  6. 지역 아카이브의 지속가능성과 역할에 관한 제언 vol.21, pp.3, 2013,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