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rchival Description in according with Paradigm Shift of the Archival Sciences

기록학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기술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06.12
  • Accepted : 2013.07.25
  • Published : 2013.07.31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rchival description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shift of the archival science. The academic world of archival science in North America treated the electric record in 1990 and the authenticity of electric record in the beginning of 2000, the flow of Study recognizing the microscopic and the cultural discussion appeared recently. This may be called the paradigm shift of archival science. This may be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zation and the technology. However, the community archives, the everyday life archives recognizing the microscopic and the cultural discussion, etc. Namely, the everyday life, the village, the community archives are the effort to leave the excluded and the neglected voices from the existing discussion of archival science on record. However, the currently existing methodology to archive the community archiv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se switched recognition is limited. Especially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standards being used in the public territory is being adapted as it is. The characteristic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archive cannot be reflected through the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 We should understand the community archive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shift, need the archival description method capable of expressing this suitably. The post-standard not the existing archival description method has been necessary. This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view point of the paradigm shift and the view point of the objective and the direction of community. Hence, first the archival description and the paradigm shift have been examined theoretically and the archival description of community archive being operated currently has been analyzed. The archival description is to be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shift capable of calling 'the archival description of Korean Human Right' by pointing out the limit of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and further by investigating the archival description of the fraternity archive project.

북미 기록학계는 1990년대 전자기록, 2000년대 초 전자기록의 진본성 문제를 다루었고 최근에 들어 미시적이고 문화적 담론을 인식한 연구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을 기록학의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는 정보화와 기술(technology)에 영향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미시적 문화적 담론을 인식한 커뮤니티 아카이브, 일상 아카이브 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기록문화나 역사가 갖는 개별적 특수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라 봐야한다. 즉 일상, 마을, 커뮤니티 아카이브는 기왕의 기록학 담론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목소리들을 기록으로 남기려는 노력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환된 인식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아카이브를 기록화하기 위한 현재 존재하고 있는 방법론은 제한적이다. 특히 기술(description)은 공공영역에서 이용하고 있는 여러 표준들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기술표준을 통해서는 커뮤니티 및 커뮤니티 아카이브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과 개별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은 북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비슷한 양태이다. 따라서 각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목적과 지향을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를 적합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술방법이 필요하다. 즉, 기왕의 기술방법이 아닌 탈표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 패러다임 전환과 기술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기술을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기술표준의 한계를 지적하고 나아가 '우애의 아카이브' 프로젝트의 기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인권기록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2.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vol.89,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9.59.207
  3. 일상생활과 기록 vol.63,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