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계 밖의 수용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Accepting out of Boundary : Archival Science and the Impact of Postmodernism

  • 투고 : 2013.09.23
  • 심사 : 2013.10.25
  • 발행 : 2013.10.31

초록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하면, 그 어떤 현실도 그것에 관한 표현 속에 담겨 있는 담론을 결코 초월할 수 없다. 근래 들어 보존기록학 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은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보존기록학에서는 보존기록을 자연히 남겨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구축된 산물로 간주하며, 보존기록에 관한 어떠한 종류의 원칙도 상대주의에 입각하여 그 내용은 물론 그것을 기획하는 것 자체에 대해 회의적으로 다룬다. 여기에서는 아키비스트 자체도 이와 같은 상대화될 수 있는 맥락의 현실에 노출되어 있는 존재로 인식한다.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도 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이 보존기록과 관련한 현실의 본질에 좀 더 가깝게 갈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 긍정적 견해도 있다.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보존기록 속성, 출처, 원질서, 보존기록으로서의 가치 등 근대적 학문으로서 보존기록학의 기본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ism, no reality can exceed the discourse included in the representation. Recently, impact of post-modernism of archival science is often observed. Affected by postmodernism in archival science studies, archives are deliberately constructed product, and any kind of archival principle is negatively examined, not only contents but also its planning accordingly to the researches of post-modernism archives. In the eye of postmodernism, archivists are also considered as being exposed to the context of relativity. While this is sometimes seen as negative, there are such positive opinions that postmodernism would bring us closer to the reality of archives. In this paper, the nature of archives, provenance, original order and archival value as the basic concept of the modern archival science, will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ism. Also, effect and prospect of postmodernism will be discussed.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기록관리 원칙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담론 분석 출처주의를 중심으로 vol.52,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7.52.060
  2.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3.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vol.89,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9.59.277
  4. 동시대 사건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연구 L코믹스 사태를 중심으로 vol.62,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9.62.185
  5. '아카이브 아트(archival art)'의 동시대 기록학적 함의 연구 vol.64, pp.None,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0.64.027
  6. 기록과 기억의 재현 삼중의 미메시스로 실재읽기 vol.69,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21.69.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