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ape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a Traditional Zzaim

전통짜임의 활성화를 위한 조형적 분석

  • 남궁선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 Received : 2013.02.06
  • Accepted : 2013.03.11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veness of zzaim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to combine two or more materials to make an angle or to weave them to make a slope side)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these techniques to help furniture manufacturers effectively utilize them in the design of contemporary furniture. From this data, furniture manufacturers can have benefits to understand which type of zzaim techniques will be appropriate to their plan of building furniture, and practically use relevant techniques in the field. This study classified four different applications of zzaim techniques depending on sites, such as (1) the top, (2) middle body, (3) lower body, and (4) legs of furniture. In summary, zzaim techniques are differently appli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ites and formative types of furniture. This feature makes general furniture manufacturers who want to apply zzaim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have hard time to understand which kind of technique should be applied to which part.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expects general manufacturers as well as master artisans to more effectively utilize zzaim techniques by providing the systematic data on the formative analysis of types of furniture and application sites.

본 연구는 전통공예기술인 짜임을 현대 가구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해 조형적인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리된 짜임의 분석 자료를 토대로 가구를 제작하는 데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짜임을 이용한 가구로 생성될 수 있는 형태를 조사한 결과, 판재+판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구, 판재+각재 2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구, 판재+각재 3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구의 위치에 따라 사용되는 짜임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으로 가구의 상부에 주로 사용되는 짜임의 종류와 가구의 중앙부에 사용되는 짜임, 가구의 하부에 주로 사용되는 짜임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짜임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짜임은 그 사용되는 위치나 가구의 형태에 따라 그 구조를 이루는데 필요한 짜임이 다르다. 그래서 일반인들이 처음 짜임을 접할 때는 어떤 짜임이 어디에 사용되어야 되는지 파악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구의 조형분석을 통해 가구의 형태별, 가구의 위치별로 적용할 수 있는 짜임을 분석하여 정리함으로써 장인이 아닌 일반인들에게 대중적으로 짜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남궁선, 정수경, 이유리, "천년전주 전통기술의 지적자산을 통한 산업화 연구", 지역문화산업연구 센터(CRC)지원사업보고서, (사)천년전주명품사업단,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2. 남궁선, 이유리, "전통 목재짜임 기술의 분류 및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제13권, 제1호, pp.27-47 ,2010.
  3. 남궁선, 정수경, 김태호, "전통공예기술의 현대적활용",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12호, pp.181-189, 2010.
  4. 소혜령, 조선조 목가구의 결구법을 응용한 목조형 가구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5. 이용기, 목조건축물과 목가구의 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 논문, 1995.
  6. 최웅, 목재 결구법의 구조적 기능성과 조형적 장식성을 활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협성대 석사논문, 2005.
  7. 박영규, 한국의 목가구, 삼성출판사, 1982.
  8. 배만실, 이조목공가구의 미, 보성문화사, 1980.
  9. 김희수, 김삼기, 목가구, (주)대원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