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of Beauty Industry by Input-Output Table

뷰티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연구

  • 배기형 (세종대학교 경제통상학과) ;
  • 이윤진 (강동대학교 뷰티코디네이션과)
  • Received : 2013.02.05
  • Accepted : 2013.03.18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beauty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spreading effects of beauty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beauty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beauty industry induce 598,453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beauty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1.810,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965,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534, value-added coefficient is 0.728, and labor inducement coefficient is 0.039. The beauty industry's final demand 11,004 won be put into the national economy, GDP inducement 598,438 one billion won in the beauty industry one billion won 11,029 accounted for 1.8% of the total, and the value-added inducement 4,947 billion(2.3%),tax inducement 23,798.5 billion(3.5 %), income inducement 91,187 billion(2.5%). Regarding the industrial linkage effect, beauty industry has an relatively higher growth potential in the national economy than oth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뷰티산업은 인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노동집약적 서비스산업으로 고용 창출 효과가 뛰어난 산업이다. 본 연구는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403개 산업 중 화장품 및 치약, 비누 및 세제, 이용 및 미용 등 3개 부문을 뷰티산업으로 분류하고, 뷰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정책 수립에 일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뷰티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810, 감응도 계수 0.534, 영향력계수0.965, 부가가치유발 계수 0.728, 소득유발계수 0.293, 생산세유발계수 0.124, 노동유발계수 0.039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뷰티산업의 최종수요 11,004 십억원을 국가경제에 투입할 경우 전 산업에서 유발되는 총생산유발액은 598,438 십억원으로 이 중 뷰티 산업은 11,029십억원으로 전체의 1.8%를 차지하며, 부가가치유발액은 4,947십억원( 2.3%), 세금유발액은 23,798.5십억원(3.5%),소득유발액은 91,187십억원(2.5%)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윤진, 김기영,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미용학회지, 제16권, 제3호, pp.644-651, 2010.
  2. 심상민, 뷰티(美)산업의 부상과 성공전략, 삼성경제 연구소, CEO Information, 제345호, 2002.
  3. 원종욱.정기혜.황도경, "뷰티산업 선진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9-53, pp.10-27, 2009.
  4. 이투데이, "뷰티산업은 미래성장동력", 2011.10.21.
  5. 매일경제신문사, 뷰티산업에 돈이 몰리는 사연, 매경 이코노미, 2009,1535호
  6. KHIDI, 2010 보건산업백서, pp.47-50, 2011.
  7. 황보윤, 하규수, "미용서비스업체의 입지요인과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296-305, 2008.
  8. 김미현, 이유나, "2008-2009F/W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151-159, 2008.
  9. 황순남, "뷰티산업발전방안", KHIDI보건산업리포트, Vol.2, pp.37-56, 2007.
  10. 문미형, 성백서, "뷰티산업에 있어서의 수익률제 고를 위한 운영방안 개선사례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10권, 제4권, pp.901-909, 2012.
  11. 김정원, "한국 뷰티산업의 현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5, 2009.
  12. 이경민, 김영찬, 항순욱, 김대중, 화장품산업 분석 및 발전방안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13. 김대중, "화장품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 제17호, pp.116-121, 2004,
  14. 황순욱, 민경민, 최은경, 국내 화장품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15. 서정교, "보건산업과 한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5호, pp.2457-2475, 2009.
  16. 정영호, 서정석,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산업연관분석 :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18권, 제5호, pp.2041-2065, 2005.
  17. 정영호, 보건산업의 산업구조분석 및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9년
  18. 보건복지가족부.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산업글로벌 화육성방안 연구, 2009.
  19. 곽형심, 유용재, 최근희, "뷰티산업육성 종합적홍보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제18권, 제2호, pp.473-482, 2012.
  20. 매경이코노미, 뷰티산업에 돈이 몰리는 이유, 매일경제신문사, 2009.
  21. 한국은행, 2009년 산업연관표, 2010.
  22.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 해설, 1987.
  23.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1994.
  24. R. E. Miller and R. D. Blair, Input-output Analysis : Foundation and Extensions,New Jersey: Pren tice-Hall, 1985.
  25. A. Ghosh,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 cative system," Econometrica, Vol.25, pp.58-64, 1958.
  26.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료 해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