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line Social Capital Analysis on the Yeungnam Local Presses : Website and Social Media

영남지역 언론사의 온라인 사회자본 분석 :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 김지영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하영지 (영남대학교 사이버감성연구소) ;
  • 박한우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3.01.16
  • Accepted : 2013.03.11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online social capital of local press using the website and social media. Moreover, the paper respectively visualizes web feature as Web 1.0 and social feature analysis as Web 2.0 by applying correspondence analysis. For data, the study analyzes 10 representative local press in Yeungnam areas. To collect the data, two coders coded web features from the websites and we employed NodeXL, an open-source software tool, for social media data. The results reveal that local websites expend online social capital using social media account. Especially, the social features of local presses attach importance to Twitter as the main press keep the well-balance use among all platforms.

이 연구는 온라인 사회자본 형성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지역 언론사의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이용을 분석하였다. 언론사의 온라인 사회자본을 웹1.0으로서 홈페이지와 웹2.0으로서 소셜미디어로 나누어 대응 분석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즉 홈페이지에 나타난 웹 피쳐를 분석하고, 소셜미디어의 소셜피쳐와 대표성을 갖는 트위터 이용의 네트워크 구조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온라인 사회자본으로서 웹사이트는 커뮤니케이션, 정보제공, 비즈니스의 측면에서 역할을 하였다. 영남지역 언론사들의 웹페이지 메인에 소셜미디어를 이용해 각각 다른 형태로 웹 피쳐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장하려고 하였다. 또한 중앙언론사가 모든 플랫폼을 균형 있게 이용한 반면, 영남언론사는 트위터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트위터, 유튜브, 페이스북 순서로 소셜피쳐를 활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돈 탭스코트, 앤서니 윌리엄스, 김현정 역, 매크로 위키노믹스, 21세기북스, 2011.
  2.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New York, 1986.
  3.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5-120, 1988. https://doi.org/10.1086/228943
  4. R. D. Putman, R. Leonardi, and R. Y. Nanetti, "Making Democracy Work :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5.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 Vol.13, pp.35-42, 1993.
  6. H. Rheingold, Smart Mobs-The Next Social Revolution, Borckman, Inc, 2002.
  7. 이호영, 김희연, 정부연, 장덕진, 김기훈, "소셜미디어의 성장과 온라인 사회관계의 진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12).
  8. B. Wellman, A. Q. Haase, J. Witte, and K. Hampton,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mmitment,"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5, No.3, p.436, 2001.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7286
  9. 나은경, "온라인과 오프라인 세계의 상호작용-온라인 사회연결망의 이질성과 오프라인 명대면 만남이 민주적 시민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4호, pp.385-406, 2007.
  10. J. Nonath and D. Boyd, "Public displays of connection," BT Technology Journal, Vol.22, pp.71-82, 2004. https://doi.org/10.1023/B:BTTJ.0000047585.06264.cc
  11. 정상윤, "지역방송정책 평가연구: 2000년 이후의 로컬리즘 정책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 권, 제2호, pp.498-530, 2009.
  12. 김진영, 이상훈, 한태학, "지역공영방송의 프로그램 경쟁력 제고방안: 편성패턴, 시청행태, 광고시장 현황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1 호, pp.81-120, 2008.
  13. 원용진, 황상현, "지역방송 연구의 경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0년부터 201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85-332, 2011.
  14. 설진아, "지상파 TV방송사의 대시청자 인터넷 서비스 및 피드백 연구", 한국언론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pp.211-232, 2005.
  15. 박세정, 박한우, "지역미디어의 웹보메트릭스 분석-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자료학회, 제13권, 제3호, pp.1379-1392, 2011.
  16. 김채환, 이화행, "부산지역 언론사의 온라인 서비스 특성과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제47권, 제6호, 2003.
  17. 김은미, 이주현, "뉴스미디어로서의 트위터: 뉴스 의제와 뉴스에 대한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제55권, 제6호, pp.152-180, 2011.
  18. S. M. Schneider and K. A. Foot, "Web sphere analysis: An approach to studying online action. In Hine," C. (Ed). Virtual Methods: Issues in Social Research on the Internet; Chapter eleven. London: Berg, 2005.
  19. 하영지, 김지영, 박한우, "한국과 일본 언론사의 웹사이트 특성에 관한 연구 : 신문사 사이트의 웹피쳐 분석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제21권, pp.255-273, 2012.
  20. 박한우, 한지은, 최경호, 김효동, Kate A. Mirandilla, "정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웹 공간 분석: 필리핀의 2004년 선거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13권, 제1호, pp.17-31, 2006.
  21. J. December, "Units of Analysis for Internet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6, No.1, 1996.
  22. 김효동, 박한우, Leslie M, Tkach-Kawasaki, "웹 피쳐 자료를 활용한 한국과 일본의 정치인 웹사이트 비교 분석", 한국자료학회, 제9권, 제5호, pp.2507-2520, 2007.
  23. R. Kluver, N. W. Jankowski, K. A. Foot, and S. M. Schneider, The Internet and national elections: Acomparative study of web campaigning, Routledge, 2007.
  24. I. Himelboim, S. McCreery, and M. Smith, "Birds of a Feather Tweet Together: Integrating Network and Content Analyses to Examine Cross-Ideology Exposure on Twitter.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8, pp.40-60, 2013.
  25. 박한우, 인터넷 소셜미디어 개론: 이론과 사례, 영남대학교출판부, 2011.
  26. 박한우, 소셜 여론조사의 실제와 과제- 저비용고효율 SNS로 여론 읽기, 신문과 방송, pp.84-88, 2012(7).
  27. L. Lebart, A. Morineau, and K. M. Warwick, Multivariate descriptive analysis: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lated techniques for large matrices, John Wiley & Sons, 1984.
  28. 이명진, "지역주의와 정권: 지역별 집중도와 거리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31권, 제1호, pp.121-139, 1997.
  29. 최샛별, 이명진, "음악장르, 여가활동, TV프로그램 선호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34-60, 2012.
  30. A. Mitchell and Rosenstiel, T. Overview. "The State of the News Media An Annual Report on American Journalis," The Pew Research Center's Project for Excellence in Journalism. Retrieved, 2012(8).
  31. 박한우, 도시국가 시대 지역 언론의 역할, 한겨레사설칼럼, 2012(7).
  32. 주은수, "한국 인쇄매체 경영분석에 대한 고찰", 한국미디어경영학회, 2011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제문, 2011.
  33. 김형곤,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의 주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제11권, 제6호, pp.242-25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