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otional Labor and Psychosocial Stress Difference of Hairdressers in Beauty Shops Depending on Variables related to Thrid Jobs

미용실 헤어분야 종사자들의 직업관련 변인에 따른 감정노동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차이

  • 정숙희 (경남정보대학교 미용계열) ;
  • 심선녀 (경동대학교 의료뷰티학과) ;
  • 유은주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01.09
  • Accepted : 2013.02.2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gure out difference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social stress by occupation-related variables against hairdressing industry workers. For this, a total of 191 hairdressers in Busan were examined using emotional labor scale and psychosocial stress scal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30, 2011 using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by occupation-related variables, difference was found by monthly income in 'control of emotion' category. In terms of 'emotional dissonance,' difference was observed by job title and monthly income. In 'positive expression of emotions,' difference was detected by monthly income and number of off-days per month.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 in psychosocial stress by occupation-related variables, differences were found by age, job title, education, work experience, monthly income, working hours and number of off-days per month.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ve, monthly income is related with both emotional labor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occupation-related variables.

본 연구는 미용실 헤어분야 종사자의 직업관련 변인에 따른 감정노동과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미용실 헤어분야 종사자 191명이었으며, 감정노동 척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는 2011년 7월1일에서 7월 3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분석은 t-test와 일원변랑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검증으로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관련 변인에 따라 감정노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절제영역에서는 월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감정노동의 부조화 영역에서는 직위, 월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긍정적 감정표출 영역에서는 월소득, 월 휴무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관련변인에 따라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직위, 학력, 근무경력, 월 소득, 근무시간, 월 휴무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직업관련변수 중 월소득이 감정노동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모두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