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종합병원 입원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증상의 시점 유병률 : 암 환자 디스트레스 중재 전략을 위한 예비 연구

Point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Cancer In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Distress Management Strategies in Cancer Patients

  • 이민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허휴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민정아 (서울성모병원 건강증진의학과) ;
  • 이창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이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김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Lee, Min-A (Department of Psychiat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Huh, Hyu-Jung (Department of Psychiat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Min, Jung-Ah (Health Promotion Center, Seoul St. Mary's Hospital) ;
  • Lee, Chang-Uk (Department of Psychiat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Chul (Department of Psychiat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Tae-Suk (Department of Psychiat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13.08.05
  • 심사 : 2013.09.16
  • 발행 : 2013.12.31

초록

목 적 암환자의 불안 및 우울증상 유병률이 높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이에 대한 선별과 개입의 노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암환자의 불안, 우울증상의 선별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암환자의 불안, 우울증상의 시점 유병률을 조사하고 위험인자를 규명하였다. 방 법 일 종합병원 암센터에 입원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병원불안우울척도를 시행했으며, 사회인구학적 및 암 관련 임상 자료를 조사하였다. 결 과 불안,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각각 10.5%, 34.2%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전이가 있을 시 불안증상 위험이 더 높았고, 항암치료 경험과 중등도 미만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우울증상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36.8%의 입원 암환자가 불안 혹은 우울증상을 겪고 있었으며 전이, 항암치료 경험, 중등도 미만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불안 및 우울증상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안, 우울증상을 보이는 암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선별검사와 관리 시스템 체계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int prevalence of anxiety, depression and the associated risk factors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A total of 114 patients with cancer who admitted to the Cancer Center in St. Mary's Hospital were enrolled for a day. The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Sociodemographic and cancer related clinical variable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point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was 10.5% and 34.2%, respectively, as assessed with HADS.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vealed that distant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xiety in patients with cancer and previous chemotherapy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more than one third of patients with cancer suffer from either anxiety or depression. In addition, previous chemotherapy as well as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distant metastasis were associated risk fa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screening and systematized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distress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