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Volume 19 Issue 3
- /
- Pages.551-565
- /
- 2013
- /
- 1226-7392(pISSN)
- /
- 2586-1468(eISSN)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 Cho, Chul-K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3.07.02
- Accepted : 2013.07.31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Geography Syllabu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and geography textbooks developed by it. Th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s as follows. Firstly, Development Education is implicitly describ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and aid links in Geography (Mandatory) Stage 4 and Geography (Mandatory) Stage 5, but clearly in Geography Elective. Moreover, Development Geography is one of unit to learn deeply in case of Global Challenges in Stage 6. Secondly, in geography textbooks, development education is sequenced with learning of the quality of life in everyday life, understanding of diverse meaning of development and measure of development, and the role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for reducing the global inequalit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ly, geography curriculum needs to be consist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 school, and development geography in high school. Secondly, the major concepts of development education like development, measure of development and the aid etc. need to be described in the different views. Thirdly, development education needs learners to learn the interdependence and practice the global citizenship through learning of specific links of our country with others. Finally, geography textbooks should not describe the normative efforts for reducing global inequality, and treat individual practical cases as well as organizations like government and NGOs so that learners empathize with their value and attitude through individual practical cases.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을 분석한 것이다.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리 교육과정에서 Stage 4와 Stage 5의 필수 지리는 개발교육을 구체적으로 명시화하지 않고 삶의 질의 차이와 원조 연계를 통해 개발교육에 접근하고 있는 반면, 심화 과목인 선택 지리의 경우 개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Stage 6에서도 개발지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보다 심화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에서는 개발교육이 개발에 대한 학습에서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의 차이를 선행하여 학습한 후 개발 및 개발 척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있게 이해하도록 하고, 이러한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해 개인 또는 조직으로서 어떻게 행동하고 실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학습으로 계열화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개발을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이와 관련한 삶의 질의 차이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중등학교 고학년에서는 개발지리에 대해 직접 학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발교육에서 등장하는 주요 개념인 개발, 개발 척도, 원조 등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발교육은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와의 구체적인 개발 연계 사례를 통해 추상적인 상호의존성이라는 개념과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가치를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당위적인 측면에서 기술하거나 정부 및 비정부기구 등과 같은 조직의 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개인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그들의 가치와 행위를 감정이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