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rigins of the Geographical Name in Daegu Metropolitan Area : Based on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洞)

대구 지명유래에 관한 연구 - '동(洞)명'을 사례로 -

  • Jeon, Young-Gwe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전영권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3.07.31
  • Accepted : 2013.08.25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main results that can be drawn from the thematical analysis, based on 173 geographical names of Dong(洞) in Daegu city, are as follows. Firstly, the origin of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s divided into 10 groups such as natural landscape, human landscape, situation, and so on. Thematically, natural landscap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m. In particular, Dong-gu is such a case since Mt. Palgong and Geumho river are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area. Secondly, the origins of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n Jung-gu and Buk-gu are mainly concerned with human landscape and situation. Especially, Daegu-Eupseong(大邱邑城)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origin of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n Jung-gu. Thirdly, in 1914,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established new Dongs(洞) an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new Dongs were made by borrowing each word from the existing geographical names of Dong. Fourthly, the geographical names of Dong in Suseong-gu and Dalseo-gu made after 1980s' were made in many cases by utilizing the existing natural landscapes.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Suseong field in Suseong-gu, Seongdang lake and Mt. waryong in Dalseo-gu have been recognized as the important natural landscapes. Lastly,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s commonly concerned with historical place names such as Gongsan battle in Dong-gu. It is judged that the geographical names of Dong based on Gongsan battle or a most intriguing piece of legend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on developing the regional tourism by storytelling.

대구 지역 동명 중 유래 분석이 가능한 173개의 동명을 대상으로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명 유래는 주제별로 10가지(자연경관, 인문경관, 위치 등)로 분류된다. 동명 유래에 있어 자연경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구의 경우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동구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팔공산과 금호강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구의 중심지인 중구와 대구 정체성이 비교적 강한 북구의 경우 지명은 주로 인문경관이나 위치와 관련한 경 우가 많았다. 특히 중구의 경우, 동명과 관련하여 대구읍성이 가장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914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동명은 기존 동명에서 한자씩 차용하여 만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넷째,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신설된 수성구와 달서구의 경우, 자연경관을 지명 제정에 활용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성구의 지명유래에 해당하는 '수성들'과 달서구의 중요한 자연경관인 '성당지', 와룡산 등은 주요한 대상지로 인식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동구에는 역사와 관련한 지명이 많은데, 이것은 927년의 '공산전투'가 주요인이다. 특히 공산전투와 관련된 역사적 지명이나 설화에 바탕을 둔 지명들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 관광활성화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