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the statu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needs assessment for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s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 Received : 2013.02.18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alities and needs in the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To this end,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the teacher and take advantage of their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 teachers to recognize the most desir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operating requirements of the difficult matters. Survey of 48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high school teachers to teach the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gh percentage of theoretical learning activities,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s' and take advantage of the higher percentage. Module was to conduct classes such as 'project', 'lab experiments', 'discussion', 'investig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high proportion of practice learning activities. Second, Higher requirements for the experience and practice of student-centered 'lab experiments', 'project', 'Case Studies', 'field trips' and theory-driven rather than 'lectures'. Third,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important when operating requirements for the degree' as a whole was highly recognized. in particular, operating require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former college of education of education than non-group differences were higher overall response. Fourth,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difficult when operating your degree' as a whole was highly recognized. In particular, was recognized by difficult questions, such as lack of preparation classes due to excessive work,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 shortage, lack of prior knowledge about the subject,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student's

이 연구는 '발명 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 학습 방법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발명 특허 기초' 과목 담당 교사들이 현재 활용하고 있는 교수 학습 방법, '발명 특허 기초' 과목 담당 교사들이 인식하는 가장 바람직한 교수 학습 방법, '발명 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 학습 운영상의 요구 사항과 어려운 사항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48개교의 고등학교에서 '발명 특허 기초'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 또는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인 학습 활동의 비중이 높은 모듈은 강의를 활용한 비율이 높았고, 실습과 관련된 학습 활동의 비중이 높은 모듈에서는 프로젝트, 실험 실습, 토론, 조사 등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 특허 기초 과목의 담당교사는 교수 학습 운영에 필요한 교수 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중심의 강의보다는 학생중심의 체험과 실습을 중심으로 하는 실험 실습, 프로젝트, 사례연구, 현장학습 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발명 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 학습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중요 요구 사항에 대한 동의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출신 대학에 따른 교수 학습 운영시 요구 사항에 대한 집단간 차이에서는 사범계가 비사범계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응답하였다. 넷째, 발명 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 학습 운영 시 어려운 사항들에 대한 동의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과다로 인한 수업 준비 부족, 교육 시설 및 기자재 부족, 교과에 대한 사전지식 부족, 학생의 개인차 고려 어려움, 학생의 흥미와 관심 부족 등을 어려운 사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희(2008). (통학적 접근의)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 김두선 외(2002). 선진국 발명교육 사례의 연구 분석 및 국내 도입 방안 연구. 한국학교발명협회.
  3. 김봉수, 이상봉(2012). 중학교 발명교실 담당교사가 인식하는 발명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동의수준과 중요도. 한국기술교육학회, 12(3), 205-232.
  4. 김태훈, 조한진(2012). '발명특허 기초'에 대한 발명 교육 참여 교사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직업연구, 31(2) : 315-338.
  5.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31-300.
  6. 이병욱 외(2007). 발명․특허 특성화고 운영 방안. 특허청.
  7. 이병욱 외(2008a). 발명․특허 기초. 한국발명진흥회.
  8. 이병욱 외(2008b). 발명․특허 특성화고 공통교재 개발. 특허청.
  9. 이병욱 외(2009). '발명과 문제해결'의 집필 방향과 교재 내용에 대한 타당도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34(1), 155-170.
  10. 이병욱(2007a). 발명․특허 특성화고 운영 방안. 특허청
  11. 이병욱(2007b). 발명 특성화고 '발명특허입문' 교재 개발. 한국발명진흥회.
  12. 이병욱, 김태훈, 강경균(2009a). 발명과 디자인 과목의 교재 집필 체제 및 내용 개발에 대한 타당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9(1), 219-234.
  13. 이병욱, 이창훈(2008c). 발명․특허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교사 인식;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 33(1), 134-148.
  14. 이상봉, 박세근(2008). 서울지역 발명교실이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대한공업교육학회, 33(1). 114-133.
  15. 이용순, 이병욱, 배동윤(2005). 직업탐구 영역 관련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운용 실태 조사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0(2). 23-32.
  16. 이화여자대학교(200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17. 이화진 외(2000).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후속 지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정책연구 2000-일-23.
  18. 이화진 외(2002).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질 관리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CRC 2002-11.
  19.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 N. G. Lederman(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Mahwah: Lawrence Erlbaum.
  20. Barnett, F. &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4), 426-453. https://doi.org/10.1002/sce.1017
  21. Walker A. & Cheng, C. Y. (1996). Professional development in Hong Kong primary school: Beliefs, practices, and change.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22(2), 197-212. https://doi.org/10.1080/02607479620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