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dilemma zone by analysing the influence exerted by actual location of intersection traffic signal on behaviour of drivers approach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 urban area. The analysis of approach speed was based upon a 'before and after' comparison, measured at three sites where the locations of traffic signals were changed. The study demonstrated that, when traffic signal changed to yellow, the scales of dilemma zone were narrowed in case of stopping cars by moving up the starting point of the dilemma zone due to lowered spot spee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passing cars, the end points of dilemma zone were moved further out to the rear due to increased spot speed. Therefore, changing traffic signal locations could make an impact to increase intersection safety through reducing the scales of dilemma zone. This study also found that, in cases involving vehicles with similar approach speeds, spot speeds could be differentiated following the change of signal loc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re can be greater differences in both braking point and deceleration rate. Thus, when considering the appropriate measuring of dilemma zone, 'spot speed' rather than 'approach speed' appeared to be more appropriate criterion.
본 연구는 신호기 위치 조정이 도시지역의 교차로 신호등에 접근하는 운전자들의 운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딜레마 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접근속도의 분석은 신호등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 3개 지점에서 측정된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황색신호시 정지차량의 경우 지점속도를 낮춰, 딜레마존 시작점을 앞당김으로써 딜레마존의 크기를 작게 하는 반면에 통과차량의 경우 교차로에 근접하여 지점속도를 높임으로써 딜레마존 끝점을 뒤로 이동시키게 됨을 발견하였다. 결국 신호기 위치조정은 딜레마존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교차로 안전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동일한 속도로 진입한 차량군의 운행특성을 볼 때, 감속을 하기 위한 감속도가 반영되어 지점별 속도가 상당히 크게 변화했는데 이것은 딜레마존에서 사용되는 접근속도의 개념에 대한 보다 엄밀한 규정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근속도의 개념이 접근구간속도임을 고려할 때 딜레마존의 계산식은 접근속도 보다 지점속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