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재경. 2009.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정책연구 2009-37.
- 국립기상연구소. 2009. 기후변화 이해하기 II - 한반도 기후변화: 현재와 미래.
- 김다은, 정용, 박무종, 윤재영, 김상단, 최민하.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자원 분야의 취약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3(1): 25-33.
- 김성재, 박태양, 김성민, 김상민. 2011.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 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리변수 선정. 한국관개배수논문집. 18(2): 33-42.
- 김연주, 전성우, 채여라, 최현아. 2010.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분석을 통한 국가적응역량 제고방안 모색.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 김종일. 2007. 기후변화와 기상재해 대응과제. 리전인포 통권 제 105호. 광주전남발전연구원.
- 명수정, 김지영, 신상희, 안병옥. 2010. 기후변화 적응 강화 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박기욱, 김진택, 이종남. 2006. 지역별 농업가뭄 평가를 위한 농업가뭄지표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214-220.
- 심교문 외 3인. 2006.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벼 생육 및 생산성 평가. 제 4차 기후변화 학술대회 발표자료.
-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장민원. 2006.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한 시군단위별 농업가뭄에 대한 취약성 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2(1): 37-48
- 전현직. 2011.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산업별 취약성 분석과 적응방안. 건국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 Brooks, N., W. N. Adger, and P. M. Kelly, 2005. The determinants of vulner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implications for adaptati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5: 151-163 https://doi.org/10.1016/j.gloenvcha.2004.12.006
- Fetters R. and J. Garner. 2003. Using GIS in the Risk Management Agency's Federal Crop Insurance Program.
- Füssel, H. M. and R. J. T. Klein, 2006. Climatic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An evolution of conceptual thinking. Climatic Change 75: 301-329. https://doi.org/10.1007/s10584-006-0329-3
- Gbetibouo, G. A. and C. Ringler, 2009. Mapping South African farming sector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IFPRI Discussion Paper 00885.
- Moss, R. H., E. L. Brenkert, and A. L. Malone, 2001.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repared for the U. S. Department of Energy.
- UNDP,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