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저수지 탁수거동 예측 기법 제안

  • 하림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종윤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강부식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정세웅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Arnold, J.G., Srinivasan, R., Muttiah, R.S., and Williams, J.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JAWRA, Vol. 34, No. 1, pp. 73-8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8.tb05961.x
  2. Nash, J.E., and Sutcliffe, J.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3. 강부식, 문수진, 김정중, 2012,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전지구기후모의의 지역단위 상세화시스템 : ARDAS, 한국수자원학회학회지 '물과미래' Vol. 45 No. 8, pp. pp. 106-111.
  4. 박종윤, 박민지, 안소라, 김성준, 2009,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42, No. 10, pp. 877-889.
  5. 정세웅, 박재호, 김유경, 윤성완, 2007, 대청호 부영양화 모의를 위한 CE-QUAL-W2 모델의 적용,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3, No. 1, pp. 5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