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원진숙,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 서울: 사회평론, 2010.
- 주은선, 이현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4호, pp.817-846, 2010.
- 강기정, 이무영, 강복정, "다문화 가족상담 모델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3호, pp.225-245, 2011.
- 김현아, 정성란, "새터민의 가족상담 모형 개발. 상담학 연구", 제9권, 제3호, pp.1333-1356, 2008.
- 오윤자, 정민자, 라휘문, 박정윤, 김상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모델 및 발전방안, 보건복지가족부, 2009.
- 양미진, 이동훈, 고홍월, 김영하, 남현주,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 연구, 제13권, 제3호, pp.1181-1200, 2012.
- 민무숙, 김이선, 이춘아, 이수영, 다문화 전문 인력양성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 김승권, 김유경, 강복정, 신숙자, 최준영, 다문화가족 교육관계자 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 양미진, 고홍월, 이동훈, 김영화, 다문화 청소년 상담매뉴얼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11.
- 정지윤,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과정의 실태와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10.
- 이재경, 박언주, 김효정, 조영주, 대학생 다문화 감수성 함양 교육모듈 개발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0.
- 이성순, "다문화 전문 인력 양성 현황과 과제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양성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0권, pp.241-268, 2011.
- 김종철, "다문화가정 자녀의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수전략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77-283, 2008.
- 권충훈, 김훈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선정 아이디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293-301, 2008.
- 하혜숙, 김태호, 김인규, 이호준, 임은미 역, 다문화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1.
- R. A. Kruger, Analyzing and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Focus group kit 6),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999.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009.
- T. Cross, B. Bazron, K. Dennis, and M. Issacs,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1989.
- 최명민, 이기영, 최현미, 김정진,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학지사, 2009.
- 강기정, "다문화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2호, pp.153-168, 2012.
- 한재희, "한국의 가족문화와 다문화상담. 진리 논단", 제16권, pp.117-133, 2004.
- A. McPhatter,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Vol.76, No.1, pp.255-278, 1997.
- 김광수, 다문화사회와 학교상담의 역할과 과제. 서울교대 다문화연구소, 2008.
- http://www.apa.org/pi/guide.html.
- E. S. Neukrug,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Brooks/Cole. 2011.
- D. W. Sue, P. Arredondo, and R. J. McDavis,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standards: A call to the profess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0, pp.477-486, 1992.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2.tb01642.x
- S. Sue and D. Sue,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Theory and practice.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003.
- 정의철,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참여적 다문화 미디어교육 사례", 비교한국학회, 제19권, 제1호, pp.73-113, 2011.
- F. E. Mitchell and H. C. Triandis, "The Culture Assimilator: an Approach to Cross-cultural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5, pp.95-102, 1971. https://doi.org/10.1037/h0030704
- 윤영주, 한국 체류 중국동포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S. I. Vondracek and F. W. Vondracek, "The manipulation and measurement of selfdisclosure in pre-adolescents," Merrill- palmer Quartwely, Vol.17, pp.51-58, 1971.
- C. R. ley, Overcomming unintentional racism in counseling and therapy (2nd ed.). Thousand O 만, CA: Sag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