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SEP on elderly Women's Life Function Fitness and Health-related QOL

재가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고령자의 생활기능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12.24
  • Accepted : 2013.01.07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ry to check the change of a subjective evaluation about the life function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executing the home support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total 16 weeks with elderly women that are order than 70 years old. The experiment group(total : 17 people, mean age : 79.4) and the control group(total : 17 people, mean age : 80.7) live Yeonje-gu in Busan city, and they don't have any physical injury and any inconvenience to move. and they are all composed of elderly women who agre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covariance with SAS 9.2 statistics package. These are the results from it. Fir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p<.001) in lifting dumbbells, repeatedly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2.24m shuttle running, walking at the same place for 2 minutes. Second, there was no particular effect with the experiment group in flexibility(catching hands with their backs leaned against each other). This result point out that there is a need of supplementation like adding exercise item which can improve flexibility to home support exercise program. Third, there was no particular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8 sub-factors with the subjective evaluation abou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SF-36. However, there the bodily pain and vitality sub-factors of experiment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p<.10 level, so we considered this result showed us the positive effect slightly.

본 연구의 목적은 70세 이상의 여성고령자들에게 재가운동 프로그램(home support exercise program)을 16주간 주3회씩 실시하여 생활기능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SF-36)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총17명, 평균나이:79.4)과 통제군(총17명, 평균나이:80.7)은 부산시 연제구에 거주하며 신체적 외상이나 거동에 불편함이 없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성 고령자로 구성하였다. SAS 9.2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집단간 기술통계와 동일성 검증 및 사전측정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덤벨 들기, 일어섰다 앉기, 2.24m 왕복달리기, 2분간 제자리 걷기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성을 측정하는 등 뒤 손잡기 항목에서는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점은 재가운동프로그램에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항목을 추가하여 보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셋째, SF-36을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는 8개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실험군과 통제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다만 통증과 활력 하위요인에서 운동을 처방받은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p<.10 수준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를 미세하게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L. W. Chu and A. Y. Chiu, "Incidence and predictors of falls in the Chinese elderly," Academy Med. Singapore, Vol.24, pp.60-72, 2005.
  2. M. H. Woollacott, "Age-related changes in posture and mov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48, pp.56-60, 1993. https://doi.org/10.1093/geronj/48.Special_Issue.56
  3. 강주성, Swiss Ball 운동이 양로원 여성고령자의 활동체력 및 자세운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5.
  4. 이미숙, "고령화연구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보건과 사회과학, 제25호, pp.5-32, 2008.
  5. 김희자, 시설노인의 근력강화운동이 근력, 지구력, 일상생활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994.
  6. 황재심, 양정옥, 이중숙, 이범진, "복합운동의 참여가 여성노인의 기능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77-183, 2011.
  7. 정수진, 윤은선, 손태열, 제세영, "레크리에이셔널 댄스 운동이 노인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혈관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1호, pp.35-46, 2011.
  8. M. Hulens, G. Vansant, A. Claessens, R. Lysens, and E. Muls, "Predictors of 6-minute walk test results in lean, obese and morbidly obese women," Scand J Med Sci Sports, Vol.13, No.2, pp.98-105, 2003. https://doi.org/10.1034/j.1600-0838.2003.10273.x
  9. 신덕수, 12주간의 탄력밴드 운동프로그램이 여성 고령자의 건강관련체력 및 균형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1호, pp.837-844, 2010.
  10. M. E. Nelson, W. J. Rejeski, S. N. Blair, P. W. Duncan, J. O. Judge, and A. C. King,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in order adults: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 Vol.39, No.8, pp.1435-1445, 2007.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0616aa2
  1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 조사 결과 심층분석 연구: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p.289, 2007.
  12. 박효성 치매노인에 대한 회상요법의 효과성 연구, 목원대학교,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2.
  13. R. J. Gareth and A. B. Jessalynn, "The Canadian centre for activity and aging's home support exercise program," Geriatric and Aging, Vol.6, No.7, pp.48-49, 2003.
  14. 유인영, 정문희,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연령과 기능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간호발전연구소, 제2권, 제1호, pp.67-81, 1997.
  15. R. E. Rikli and C. J. Jones, "Measuring functional fitness of older adults," The Journal on Active Aging, March April, pp.24-30, 2002.
  16. J. E. Ware, K. K. Snow, and M. Kosinski, "SF-36 health survey: Manual & Interpretation Guide,"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000.
  17. J. karvonen and T. Vuorimaa, "Heart rate and exercise intensity during sports activities: Practical application," Sport Medicine, Vol.5, pp.303-312, 1988. https://doi.org/10.2165/00007256-198805050-00002
  18.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Mc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19. E. J. Bassey, M. J. Bendall, and M. Pearson, "Muscle strength in the triceps surae and objectively measured customary walking activity in men and women over 65 years of age," Clinical Science, Vol.74, pp.85-89, 1988. https://doi.org/10.1042/cs0740085
  20. 진정권, 고령자의 운동과 식생활 습관이 활동체력, 만성질환 유병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8.
  21. 소위영, 홍지영, 전은진, 최대혁, 김기홍, "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SF-36)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제30권, 제3호, pp.683-694, 2010.
  22. P. Era and E. Heikkinen, "Postural sway during standing and un expected disturbance of balance in random sample of men of difference age," Journal of Gerontology, Vol.3, pp.287-295, 1985.
  23. 고보선, "제주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8권, pp.49-72, 2002.
  24. 고보선, "제주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1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