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elf Esteem on Mental Health among Nurses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12.27
  • Accepted : 2013.01.30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occupational stress, self esteem and mental health in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sample of 457 nurses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4 to 29, 2011.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PSS 18.0). Results: Mental health differed according to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working unit and shift work. Mental heal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 esteem.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sufficient occupational control, work overload, inappropriate treats and reward, interpersonal relation in occupational stress, self esteem, shift work(3 shift) explained 42.2% of the total variance in mental health.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occupational stress and self esteem have an influence on mental health. We need to develop and provide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and manage nurse's mental health problems.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600병상이상의 C종합병원, E종합병원, G종합병원) 간호사 457명으로 2011년 7월 4일부터 7월 29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 (%),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SPSS 18.0).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171.5점, 자아존중감은 평균 28.9점, 정신건강은 평균 76.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결혼유무, 교육수준, 근무병동,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은 직무스트레스(r=.32, p<.001) 및 자아존중감(r=-.63,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의 하부영역에서 직무자율성 결여, 업무량과중,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대인관계 문제,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일반적 특성에서 근무형태(3교대)로 확인되었으며, 42.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신건강관련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 및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R. G. Fania, N. Karen, J. H. Frank, van Dijk, and K. S. Judith, "The impact of common mental disorders on the work functioning of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7, pp.1047-1061, 2010.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0.03.013
  2. 박형숙, 강은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5호, pp.810-821, 2007.
  3. H. Wu, T. S. Chi, L. Chen, L. Wang, and Y. P. Jin,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pp.627-634, 2010.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203.x
  4. 이원희, 김춘자,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및 분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6호, pp.925-932, 2006.
  5. J. Wieclaw, E. Agerbo, M. P. Bo, H. Burr, F. Tuchsen, and J. Bonde,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the risk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in the Danish workforce," BMC Public Health, Vol.8, p.280, 2008. https://doi.org/10.1186/1471-2458-8-280
  6. 윤현숙,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7.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8. A. Martens, J. Greenberg, and J. B. Allen, "Self-esteem and autonomic physiology: Parallels between self-esteem and cardiac vagal tone as buffers of threa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12, pp.370-389, 2008. https://doi.org/10.1177/1088868308323224
  9. 송인숙,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특성 및 직무만족, 건강상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한금선, 김남신, 김정화, 이광미,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7호, pp.1307-1314, 2004.
  11.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ibaum Associates, 1988.
  12. 구미옥, 김매자, "임상간호원의 업무 스트레스에 관한 분석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9-49, 1984.
  13. 배인숙,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14.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30, 1974.
  15. L. R. Derogatis, SCL-90-R: Administration, scoring & procedures manual-II for the revised version and other instruments of the psychopathology rating scale series. Towson, MD: Clinic Psychometric Research, 1983.
  16. 김재환, 김광일, "간이신경진단검사(SCL-90-R) 의 한국판 표준화연구 III", 정신건강연구, 제2권, pp.278-311, 1984.
  17. 이미숙,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 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8. 이경미,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 만족도 관계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9. 편미수, 간호사의 대인불안, 자아존중감, 이직의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조용애,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1. 이강오, 윤현정,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 안녕, 우울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조선대학교 의대 논문집, 제31권, 제2호, pp.85-99, 2006.
  22. T. H. Monk, Shift work.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pp.471-475),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1994.
  23. 홍정민, 일개 지역 간호사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4. 이연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5. H. Tova, F. Miri, and G. Vered, "Leadership style and choice of strategy in conflict management among israeli nurse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3, pp.137-146, 2005. https://doi.org/10.1111/j.1365-2934.2004.00525.x
  26. 최정실, 박승미, "의료기관 종별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강인성과 소진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251-25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251

Cited by

  1.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in College Health Centers vol.20, pp.3, 2013,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59
  2. Effects of Nurses'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t Hospit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vol.14, pp.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81
  3. The Effects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Fatigue of Firemen vol.14, pp.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223
  4.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life-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of dental hygiene students vol.14, pp.5,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659
  5.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Psychological Burnout in Dietitians at Geriatric Hospital in Busan vol.21, pp.4, 2015, https://doi.org/10.14373/JKDA.2015.21.4.261
  6.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Job Stres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vol.24, pp.2, 2015, https://doi.org/10.5807/kjohn.2015.24.2.103
  7.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Immigrant Korean Nurses vol.27, pp.2, 2016, https://doi.org/10.1177/1043659614539175
  8. Influence of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vol.24, pp.4, 2017, https://doi.org/10.7739/jkafn.2017.24.4.286
  9.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vol.22, pp.3,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