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for Diagnostic Digital Chest Image Using Ion Chamber in the Total Mastectomy

변형근치유방절제술 환자의 Ion chamber 변화에 따른 디지털 흉부 영상의 화질 평가

  • 이진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방사선학과) ;
  • 고성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강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박형후 (김원묵 기념 봉생병원) ;
  • 김동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김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2.09.03
  • Accepted : 2012.11.05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e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total mastectomy are different from general women in their breasts thickness due to breast surgery. As a result, digital chest image from total mastectomy patients will be different attenuation. The main objective for this study is to show that a proper Ion chamber standard combination measuring MTF which is objective basis for Digital image, when be x-ray for total mastectomy patient. We have designed the unique number that shown Left is 1, Right is 2, Center is 3 and have put the edge phantom on detector ion chamber. Lastly, we have obtained experiment images. The evaluations of all image quality have measured by 50% MTF of spatial resolution and absorption dose using Matlab(R2007a). The result showed that average exposure condition, MTF value, absorption dose for 1+3 and 2+3 combinations were 2.745 mAs, 1.925 lp/mm, 0.688 mGy. Consequently, that showed high MTF, DQE and low dose than other combinations. Therefore, a proper changes of ion chambers are able to improve image quality and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when be X-ray for total mastectomy patients. Also, it will be possible to standard for application chamber combination and utilization on clinical detection.

변형근치유방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일반 여성에 비해 수술로 인한 양측 유방의 두께 차이가 나타나게 되고 이에 따른 감약 차가 생기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영상 특성평가의 객관적인 기준이 되는 MTF를 측정하여 변형근치유방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흉부촬영에서 적합한 Ion chamber 조합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텍터에 위치한 chamber에 좌측 1, 우측 2, 가운데 3으로 번호를 지정하고 엣지팬텀을 부착하여 실험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해상력 특성 평가는 Matlab(R2007a)를 이용하여 50% MTF 공간주파수의 해상력 평가와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에서 1+3과 2+3조합의 평균 노출조건, 공간주파수, 흡수선량은 각각 2.745 mAs, 1.925 lp/mm, 0.668 mGy로 다른 조합과 비교하여 적은 선량으로 높은 해상력 특성과 높은 DQE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변형근치유방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디지털 흉부영상의 촬영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hamber 조합은 피폭선량 감소와 영상 화질의 향상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여 향후 임상에서 적용 및 활용 가능한 chamber 기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 in Korea in 2000," Arch Surg, Vol.139, pp.27-30, 2004. https://doi.org/10.1001/archsurg.139.1.27
  2. A. Goldhirsch, R. D. Gelber, and M. Castiglion, "Relapse of breast cancer after adjuvant treatment in premenopausal and perimenppausal women: patterns and prognose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1, pp.89-97, 1988. https://doi.org/10.1200/JCO.1988.6.1.89
  3. Korea National Statistic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2006), Seoul, 2008.
  4. 이대형, DR Detector 의 Raw Data 분석을 통한 NPS, MTF, DQE 측정과 성능평가연구,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논문, pp.15-29, 2008.
  5. 김창수, 고성진, 강세식, "디지털 방사선시스템에서 영상증강 파라미터의 영상특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29-33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329
  6. Rovamo. M. Jyrki, Kankaapaa, and I. Mia, "Spatial Neural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Visual System for Equilumionous Chromatic Gratings," Jarmo hallikainen vision research, Vol.4, pp.1659-1667, 2001.
  7. M. L. Giger and K. Doi, "Investigation of basic imaging properties of digital radiography, 1.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edical Physics, Vol.11, pp.287-295, 1984. https://doi.org/10.1118/1.595629
  8. M. S. Passmore, R. Bates, K. Mathieson, V. O'Shea, M. Rahman, P. Seller, and K. M. Smith, "Characterization of a Signal Photon Counting Pixel Detector," Neclear Instruments and Method in Physics Research A, Vol.466, pp.202-220, 2001. https://doi.org/10.1016/S0168-9002(01)00846-4
  9. 박철구, 디지털의료영상에서 영상개선 파라미터 및 영상특성 평가,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논문, pp.5-23, 2011.
  10. Samei Ehsan, J. Micheal, and Flynn, "A Method for Measuring the Presampled MTF of Digital Radiographic Systems Using an Edge Test Devic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S0094, pp.601-604, 1998.
  11. Junji Morishita and K. Doi, "Comparison of Two Method for Accurate Measurement of Modulation Transfer of Screen-film Systems Vol.21, pp.193-200, 1994.
  12. 강태욱, 간접변환방식(a-Si)의 디지털 X선 촬영 장치 성능평가,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 논문, pp.12-32, 2010.
  13. 구본승, 성연훈, "256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두 개부 팬텀을 이용한 분해능 파라메터와 재구성필터의 영상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814-821, 2011.
  14. 김창복, "CR을 이용한 일반촬영장치의 MTF 측정", 한국방사선기술연구회지, 제28권, 제1호, pp.111-115, 2005.
  15. 우완희, "유방촬영에 있어서 자동노출조절장치 (AEC)의 바른 이용법",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27권, 제1호, pp.23-27, 2004.

Cited by

  1.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Sensitivity in the Digital Chest Image vol.13, pp.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