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vie 's Emotional Ambivalence

영화 <부러진 화살>의 정서적 이중성

  • 김길훈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프랑스학과)
  • Received : 2013.02.06
  • Accepted : 2013.03.18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Movie captured audience's whole sense organs to the screen which is made up of visual story-telling decorated by color, sound, and smell. The audience rediscovered native emotions(pleasure, fear, terror) suppressed and left in the compressed world of space and time, that is to say a movie world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by being immersed in the movie story. This study revealed audience's feelings of pleasure and fear by analyzing the movie . First of all, the pleasure w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Nietzsche's "the will to power." Nietzsche defined something to breathe, move, and will as being alive, and he insisted that its power to life is 'the will to power.' Human beings wish to have power and want to increase it: pleasure, the real motivation of human behaviors and phenomena. The movie well revealed the pleasure by showing nonperson's challenge and victory against social rulers. Second, the fear and terror of the audience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in Lacan's psychoanalysis. Lacan extended Freud's id, ego, and superego into the worlds of reality, imagine, and symbol, and suggested a father in symbol world among those worlds. He suggested as a basic and connecting instrument of the socialization just like Signifi$\acute{e}$ and Signifiant, Saussure' basic linguistic structure in "Cours de lingustique g$\acute{e}$n$\acute{e}$rale"(1916). Because father is the symbol and the metaphor of law, the absence of him and resistance against him means obstacles of social stabilization. Finally this paper will also discuss that the fear from the absence of law and the pleasure provoked by self-preserving instincts, that is to say natural feelings, are connected to values of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영화는 색(色)과 음(音), 그리고 연상 작용에 의한 향(香)을 공감각화한 비쥬얼 스토리텔링이며, 관객이 감각적으로 영화적 사건을 체험하게 한다. 관객은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분리된 객석의 자아를 통해 영화적 세계, 즉 압축된 시 공간의 장(場)에서 억압되고 병치된 인간의 원형적 감정, 쾌락, 공포, 두려움을 재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화 <부러진 화살>을 통해 관객의 쾌감과 두려움의 감정을 볼 것이다. 먼저 쾌감은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볼 것이다. 니체는 숨 쉬고, 움직이며, 의지가 있는 것이 살아있는 생명적 존재라고 정의하고, 그것의 동력은 힘에의 의지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힘을 요구하고, 얻고자 하고, 증대시키려 하며 소망한다. 이것이 인간행위와 현상의 원인이다. 또한 인간은 자기보존충동이 있고, 그것은 심적 동기인 쾌감추구로서 작동한다". 우리는 힘의 관점에서 일반적인 심적 동기로서의 쾌감을 <부러진 화살>의 관객의 기쁨과 연계시켜 볼 것이다. 관객은 개념적 약자로서 가난한 자, 여성, 성적 소수자 등등의 도전과 승리에서 자기 보존적 본능을, 즉 쾌감을 느낀다. 이어 관객의 불안, 공포, 두려움의 징후들을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나오는 '아버지의 이름 Name-of-the-Father'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이드, 자아, 초자아의 개념을 실재계, 상상계, 상징계로 확장하고, 이 계(界)들 가운데 상징계(질서세계)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언급한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소쉬르가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언어의 기본적 구조로서 기표와 기의를 규명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라캉은 '아버지의 이름'을 사회화의 기본적 기표로, 그리고 연결장치로서 제시한다. 아버지의 이름은 법의 상징이자 은유로서, 그의 부재와 그에 대한 항거는 사회의 불안으로 직결된다. 마지막으로 자기 보존적 본능에서 촉발되는 저항의 쾌감과 법(질서)의 부재에서 오는 두려움, 이러한 본래적 감정이 진보와 보수의 가치관에 연계되어 있음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상반기 한국영화 산업보고서", 영진위(2013.01.31).
  2.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16, 2006.
  3. 프리드리히 니체(김미기 역), 인간적 너무나 인간적인 I, 니체 전집 7, 책세상, p.116, 2002.
  4. Malcolm Bowie(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135-179, 2003,
  5. 경향신문, 2012.08.02.
  6.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35, 2006.
  7. 서형, 부러진 화살 대한민국 사법부를 향해 석궁을 쏘다, 후마니타스, 2009년(서문).
  8.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44, 2006.
  9. 졸고, "클로드 괴와 위고의 민중", 불어불문학연구, 가을호, 2012.
  10. Scott, James C, "Everyday Forms of Resistance," The Copenhagen Journal of Asian Studies 4, pp.33-62. 1989. https://doi.org/10.22439/cjas.v4i1.1765
  11. Foucault, Michel, The History of Sexuality: An Introduction, Vol.1, New York: Vintage, 1978.
  12. 박명림, "박정희시대 재야의 저항에 관한 연구 1961-1979:저항의 제의 등장과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0, No.1, 2008.
  13. 강정구, "1970년대 민중-민족문학의 저항성 재고", 국제어문, 46집.
  14. 김상희, "사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의 저항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드라마사이코학회지, pp.35-36, 2010.
  15.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p.182-183, 1993.
  16. Bruno Bettlhie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17. Colin Jones(방문숙외 역), 게임브리지 프랑스사, 시공사, p.106, 2001.
  18. 이성식(2인), "지역무질서, 집합효율성, 범죄두려움의 관계: 세모델 의 검증", 피해자학연구, Vol.20, 2012.
  19. 졸고, "전래동화 <빨간모자>와 영화 <아저씨>에 나타난 아버지의 기표", 한국콘텐츠학회, Vol.12, No.7, p.67, 2012.
  20. M. Foucault(이정우 역), 담론의 질서(L'ordre du discours), 새길, p.112, 2011.
  21. Malcolm Bowie(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29-30, 2003,
  22. Jacques-Alain Miller(맹정현,이수련 역), 자크라캉의 정신분석의 네 가지 개념, 새물결, p.62, 2009.
  23. C. Moony(이지연 역), The Republican Brain(똑똑한 바보), 동녘사이언스, pp.50-54, 2012. 재인용. See Josepy LeDoux, The Emotional Brain, New York, Simon& Schuster, 1996. Leda Cosmides&John Tood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Emotions, Handbook of Emotions, 2nd Edition, M.Lewis&J.M.Haviland Jones, Eds.New York. Guifond, 2000.
  24. Leon Festinger,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Evanston, Illinois, 1957. Aronson. E & Leon Festinger,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110, No.1,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7.
  25. C. Moony(이지연 역), The Republican Brain(똑똑한 바보), 동녘사이언스, p.58, 2012. 재인용. See Josepy LeDoux, The Emotional Brain, New York, Simon& Schuster, 1996. Leda Cosmides&John Tood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Emotions, Handbook of Emotions, 2nd Edition, M.Lewis&J.M.Haviland Jones, Eds.New York. Guifond, 2000.
  26. 김지형, "색깔론의 가해자와 피해자", 내일을 여는 역사, 제30호, p.35, 2007.
  27. F. Birren(김화중 역),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p.186, 1993.
  28. 이강형, "유권자의 정치후보에 대한 감정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5호, p.75, 2002.
  29.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179, 1993.
  30.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185, 1993.
  31.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han, p.181,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