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임숙자 외 (2009), 현대의상사회심리학 (개정판), 서울: 수학사, pp. 236-240.
- 한상만 외 (2006), 마케팅에서 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탐색적 고찰, 소비자학 연구, 17(4), pp. 61-88.
- Newman. M. E. J. (2004), Detecting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B, 38(2), pp. 321-330. https://doi.org/10.1140/epjb/e2004-00124-y
- 한상만, 이지은 (2009),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고객무형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10(4), pp. 99-121.
- Han & Kim (2008), Network analysis of and online community, Physica A, 387, pp. 5946-5951. https://doi.org/10.1016/j.physa.2008.06.053
- 이지현, 이승희 (2011), 패션브랜드 커뮤니티와 동영상 UCC 소셜 미디어 참여행동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5(8), pp. 877-889. https://doi.org/10.5850/JKSCT.2011.35.8.877
- 홍희숙 (2006), 의류브랜드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이 브랜드에 대한 심리적 일체감 및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6), pp. 916-927.
- Newman. M. E. J.(2004), Detecting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B, 38(2), pp. 321. https://doi.org/10.1140/epjb/e2004-00124-y
- Granovetter, M.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pp. 1360- 1380. https://doi.org/10.1086/225469
- 한상만 외,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고객무형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10(4), pp. 61-88.
- Bampo, M. et al. (2008), The effects of the social structure of digital networks on viral marketing performanc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9(3), pp. 273-290. https://doi.org/10.1287/isre.1070.0152
- 박찬웅 (2007), 예술세계 연결망과 예술시장 성과에 대한 관계론적 접근, 한국사회학, 41(4), pp. 280-317.
- 김용학 (2007), 사회연결망 분석 (개정판), 서울: 박영사, pp. 49-52.
- Bonacichi,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pp. 1170-1182. https://doi.org/10.1086/228631
- Godes, D. & Mayzlin, D. (2004), Using online conversations to study word of mouth communication, Marketing Science, 23(4), pp. 545-560. https://doi.org/10.1287/mksc.1040.0071
- 이선로 (2008),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 개인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7 (4), pp. 957-988.
- Sen, S. & Lerman, D. (2007), Why are you telling me this? An examination into negative consumer reviews on the web,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21(4), pp. 76-94.
- 신종칠, 송창석 (2003),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 이용의 도 형성에 관한 연구: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16(3), pp. 713-734.
- 송용태 (2007), 온라인 커뮤니티내 프리어나운싱이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프리어나운싱의 정보속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0-97.
- Wilton, P. C. & Myers, J. G. (1986), Task, expectancy, and information assessment effects in information utilization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March), pp. 469-485. https://doi.org/10.1086/208531
-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8), 소비자행동, 파주: 법문사, pp. 240-261.
- Rings, C. M., Gefen, D. & Arinze, B. (2002), Some antecedents and effects of trust in virtual communities,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1(3-4), pp. 271-295. https://doi.org/10.1016/S0963-8687(02)00021-5
- 이은영 (2004), 온라인 구전수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116-127.
- Rochrich, G. (2004), Consumer innovativeness concepts and measur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pp. 671-677.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311-9
-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8), 소비자행동, 파주: 법문사, pp. 290-291.
- 탁진영, 박정향 (2002), 비교광고의 조정변인이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 46(3), pp. 483-519.
- 김재휘, 송미란 (2008), 온라인에서 새로운 의견선도자 탐색: 구전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해서, 소비자학연구, 19(2), pp. 93-113.
- Schrank, H. L. & Gilmore, D. L. (1973), Correlates of fashion leadership, The Sociological Quarterly, 14, pp. 534-543. https://doi.org/10.1111/j.1533-8525.1973.tb01389.x
- 이호영, 정은희, 이장혁 (2007), 웹2.0시대 디지털 콘텐츠의 사회적 확산 경로 연구, 과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p. 106-109.
- 신현경, 황진숙 (2010), 유행선도력에 따른 온라인 구전활동, 한국의류학회지, 34(8), pp. 1242-1252. https://doi.org/10.5850/JKSCT.2010.34.8.1242
- 김용학 (2007), 사회연결망 분석 (개정판), 서울: 박영사, p. 56.
- Deshpande, R. & Zaltman, G. (1982), Factor affecting the use of marketing research inform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Feb), pp. 14-31. https://doi.org/10.2307/3151527
- Keller, P. M. & Block, L. G. (1997), Vividness effects: A resource-matching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3), pp. 295-304. https://doi.org/10.1086/209511
- Moenaert, R. K. & Souder, W. E. (1990), An analysis of the use of extrafunctional information by R&D and marketing personnel: Review and model, Journal of Production Innovation Management, 7, pp. 213-229. https://doi.org/10.1016/0737-6782(90)90005-Y
- Cohen, A. R., Stotland, E., & Wolfe, D. M. (1955),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eed for cognitio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1, pp. 291-294. https://doi.org/10.1037/h0042761
- Dobre, C., Dragomir, A., & Preda, G. (2009), Consumer innovativeness: A marketing approach, Management & Marketing, 4(2), pp. 19-34.
- 김완석 (2007), 한국형 인지욕구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7(1), pp. 87-101.
- 이은영 (2004), 온라인 구전수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94-100.
- 송용태 (2007), 온라인 커뮤니티내 프리어나운싱이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프리어나운싱의 정보속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0-75.
- Cacioppo, J. T. & Petty, R. E. (1982), The need for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gy, 42, pp. 116-131. https://doi.org/10.1037/0022-3514.42.1.116
- Barabasi, A. & Bonabeau, E. (2003), Scale Free Networks, Scientific american, MAY, pp. 50-59.
- Song, K. E. & Hwang, S. J.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network features on diffusion of internet fashion information,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pp. 240-241.
- Kim, H. S., Rhee, E. Y. & Yee, J. Y. (2008), Comparing fashion process networks and friendship networks in small groups of adolescent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2(4), pp. 545-564. https://doi.org/10.1108/13612020810906182
피인용 문헌
- SNS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정보의 사회적 거리가 패션 스타일 선호에 미치는 영향 vol.42, pp.2, 2013, https://doi.org/10.5850/jksct.2018.42.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