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홍천 지역의 푄 연구

A Study on Foehn over HongCheon Area of Gangwon Province in South Korea

  • 김유미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김만규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Kim, Yumi (Meteorological Application Research Lab.,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Kim, Man Kyu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1.02
  • 심사 : 2013.02.19
  • 발행 : 2013.02.28

초록

기존의 푄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크게 영서 지방에서 푄(Foehn)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영서 지방의 어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어떠한 분포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영서 지방 중 홍천 지역을 대상으로 푄 발생 시의 일최고기온분포도 작성을 통해 국지적인 규모에서 푄의 빈도와 강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기간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봄에서 초여름(3~6월)이다. 기온과 해발고도를 변수로 한 공동크리깅(CoKriging)기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푄 발생일의 일최고기온분포도 작성에 있어서 보다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일최고기온분포도의 작성을 통해 푄은 홍천 전 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홍천강 하류 지역에서 푄이 빈번하며 강도 또한 강함을 파악하였다. 홍천 지역 주민들의 푄 인식 정도에 대하여도 조사해 보았다. 봄철에 고온 건조함을 느끼지만 그것이 푄에 의한 것인지 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국지기후 규모에서 푄을 분석하는 절차와 기법은 지역기후 이해와 연구분야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근래에 봄철부터 여름철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고온, 여름철 폭염, 봄철 농작물 생육 등과 관련하여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oehn was mainly observed in Young-seo area in Korea. However, they have failed to indicate the area where Foehn can be observed most frequently in Young-seo area and how Foehn is distributed in that area. This study targets HongCheon area in Young-seo province and examines the frequency and extent of Foehn in local scale through documenting a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ap of Foehn. The period examined in this study is the months between March and June from 2003 to 2012. CoKriging method, which uses temperature and the altitude above sea, generates a higher level of accuracy in making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ap of Foehn occurring days. We have found that Foehn is observed in certain areas, not all areas of HongCheon region, by compiling the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map. In particular, Foehn was found to be frequent and strong in the downstream of HongCheon river. In addition, we surveyed the residents of HongCheon about their perception of Foehn. They did not know whether high temperature and dryness in spring are caused by Foehn. The methods and techniques used to examine Foehn in local climate scale by this study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climate and contribute towards the research in this area. In particular, they can be applied to high temperature that recently occurred between spring and summer, excessive hotness in summers, agricultural plant growth in springs and et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