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s of Alcohol Drinking

청소년의 심리건강 영향요인: 음주의 매개효과

  • 손민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전공) ;
  • 김미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전공) ;
  • 윤기찬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전공) ;
  • 최만규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3.01.17
  • Accepted : 2013.02.08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was examined. A primary aim was to investigate how family, school, and friends affect adolescent mental health including depression, stress, and anger issues. This study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direct effect of these factors through the mediator, problem drinking. The study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2010 The Study on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942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alyses revealed that the appropriate functions and roles of the family members had the effect of promoting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appropriate functions and roles of the family members induced problem drinking, and this eventually had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causing depression, stress, and angel problems. Results also showed that having more friends who drink alcohol or smoke cigarette had no direct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however,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or variable, problem drinking.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appropriate social support system and environment in order to promot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우울, 스트레스 등 심리건강 폐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족, 학교, 친구관계 등의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심리건강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의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하여 201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2010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의 원자료에서 연구에 적합한 청소년 94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구성원의 바람직한 기능과 역할은 청소년의 심리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반면, 올바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가족은 청소년에게 문제음주를 유발시켜 우울, 스트레스, 분노 등 청소년의 심리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음주나 흡연을 하는 친구가 많을수록 문제음주를 유발해 심리건강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외부 변화에 민감한 청소년들의 심리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가족, 친구관계 등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who.int/mediacentre/en/
  2. A. H. Cheung, R. A. Zuckerbrot, P. S. Jensen, K. Ghalib, D. Laraque, and R. E. Stein, "Guidelines for Adolescent Depression in Primary Care (GLAD-PC): II," Treatment and ongoing management. Pediatrics, Vol.120, No.5, pp.e1313-1326, 2007. https://doi.org/10.1542/peds.2006-1395
  3. D. Cicchetti and S. L. Toth,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 Psychol, Vol.53, No.2, pp.221-241, 1998. https://doi.org/10.1037/0003-066X.53.2.221
  4. E. J. Mash and D. A. Wolfe, Abnormal child psycholog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08.
  5.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2006.
  6. P. M. Pauley and C. Hess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tress on drinking behaviors in a college student sample," Communication Studies, Vol.60, No.5, pp.493-508, 2009. https://doi.org/10.1080/10510970903260335
  7. Stephen Demuth and Susan L. Brown, "Family structure, family processes, and adolescent delinquency: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absence versus parental gender,"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Vol.41, No.1, pp.58-81, 2004. https://doi.org/10.1177/0022427803256236
  8. Timothy J. Biblarz and Greg Gottainer, "Family structure and children's success: A comparison of widowed and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2, No.2, pp.533-548, 200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533.x
  9. K. G. Chartier, M. N. Hesselbrock, and V. M. Hesselbrock, "Development and vulnerability factors in adolescent alcohol use,"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Vol.19, No.3, pp.493-504, 2010. https://doi.org/10.1016/j.chc.2010.03.004
  10. J. A. Cranford, R. A. Zucker, J. M. Jester, L. I. Puttler, and H. E. Fitzgerald, "Parental alcohol involvement and adolescent alcohol expectancies predict alcohol involvement in male adolescents," Psychol Addict Behav, Vol.24, No.3, pp.386-396, 2010. https://doi.org/10.1037/a0019801
  11. R. H. J. Scholte, E. A. P. Poelen, G. Willemsen, D. I. Boomsma, and R. C. M. E. Engels, "Relative risks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alcohol use: The role of drinking fathers, mothers, siblings, and friends," Addictive behaviors, Vol.33, No.1, pp.1-14, 2008. https://doi.org/10.1016/j.addbeh.2007.04.015
  12. 김순규, 김숙경,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9호, pp.105-124, 2009.
  13. 명재신, 송민경, 김청송, "청소년의 음주동기에 있어서 가족기능의 영향과 부모의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8호, pp.291-308, 2011.
  14. 민은정, 홍창희, 이민영, "아버지의 문제성 음주가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갈등과 가족 기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21-132, 2001.
  15. 이재경, 정슬기,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한 청소년 음주 영향요인의 경로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4권, pp.124-153, 2010.
  16. 손애리, 이연숙, 양미영, "고등학생의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3-122, 2011.
  17. K. L. Henry, and M. D. Slater, "The contextual effect of school attachment on young adolescents' alcohol use," J Sch Health, Vol.77, No.2, pp.67-74, 2007.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7.00169.x
  18. 이정환, "청소년 음주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1권, 제2호, pp.61-72, 2010.
  19. 구승신, 정옥희, 장성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25-23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25
  20. 송인한, 권세원, 박단비, "친구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 1호, pp.352-376, 2012.
  21. 김영미, "청소년 음주와 흡연에 대한 가족구조와 사회통제적 요인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6호, pp.151-178, 2006.
  22. 정명숙, 이동수, "청소년의 음주영향요인과 음주 행위 관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1호, pp.29-58, 2008.
  23. 황성현, "한국과 미국 청소년들의 음주행위에 관 한 비교 연구-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제23권, pp.5-29, 2008.
  24. 황성현, "부모와 친구요인이 청소년 음주.흡연 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27권, pp.81-103, 2010.
  25. A. B. Kelly, J. W. Toumbourou, M. O'Flaherty, G. C. Patton, R. Homel, J. P. Connor, and J. Williams,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nd early alcohol use: evidence for gender-specific risk processes," J Stud Alcohol Drugs, Vol.72, No.3, pp.399-407, 2011. https://doi.org/10.15288/jsad.2011.72.399
  26. K. W. Nilsson, E. Comasco, C. Aslund, N. Nordquist, J. Leppert, and L. Oreland, "MAOA genotype, family relations and sexual abuse in relation to adolescent alcohol consumption," Addict Biol, Vol.16, No.2, pp.347-355, 2011. https://doi.org/10.1111/j.1369-1600.2010.00238.x
  27. 김인석, 현명호, 유제민, "Data Mining 을 이용한 음주 및 음주문제의 위험요인과 취약성요인에 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제6권, 제2호, pp.75-95, 2001.
  28. 앙혜진, "문제음주부모를 둔 청소년의 성인아이 성향과 심리사회적 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12, 2007.
  29. M. Giletta, R. H. Scholte, M. J. Prinstein, R. C. Engels, E. Rabaglietti, and W. J. Burk, "Friendship context matters: examining the domain specificity of alcohol and depression socialization among adolescents," J Abnorm Child Psychol, Vol.40, No.7, pp.1027-1043, 2012. https://doi.org/10.1007/s10802-012-9625-8
  30. C. A. McCarty, B. T. Wymbs, K. M. King, W. A. Mason, A. Vander Stoep, E. McCauley, and J. Baer, "Developmental consistency in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in early adolescence," J Stud Alcohol Drugs, Vol.73, No.3, pp.444-453, 2012. https://doi.org/10.15288/jsad.2012.73.444
  31. 강상경, 권태연,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36권, pp.253-280, 2008.
  32. 박재홍, 이민경, 장용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Moderating Effect of Quantities and Frequencies of Drinking, 제11권, 제1호, pp.1-14, 2010.
  33. 손애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 간의 관련성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27권, pp.61-79, 2010.
  34. 손애리, L. Sherme Villasurda, 홍인옥, 김태경, 류은정, 오경재, "서울시 지역주민의 알코올장애와 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자살", 보건교육.건강 증진학회지, 제26권, 제4호, pp.71-81, 2009.
  35. S. Avenevoli and K. R. Merikangas, "Familial influences on adolescent smoking," Addiction, Vol.98, No.s1, pp.1-20, 2003.
  36. K. Kobus, "Peers and adolescent smoking," Addiction, Vol.98, No.s1, pp.37-55, 2003. https://doi.org/10.1046/j.1360-0443.98.s1.4.x
  37. Sampson, J. Robert, H. Laub. John, Crime in the Making: Pathways and Turning Points Through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