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sition and Validation of Local Finance Decentralization : Focusing on Dynamics of System Thinking

지방재정분권화의 차원과 타당성 : 시스템사고의 동태적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1.13
  • Accepted : 2012.12.31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of variables consisting of the local finance system based on the theory of system thinking regarding how financial decentraliz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political means for local decentralization and why it is needed. The results g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consisting of the local finance system form interactional relationship in the significant level, and it has been found that rapid growth and rapid decline repeat with five positive feedback loops as the center. Second, strategic points for the validity of local finance decentralization were discovered through causal map modeling. In particular, it has been shown that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declines the local finance system through the constant operation of variables (government subsidies, taxation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central government's local finance mediation system, and local government debt, etc.) that deteriorate the vicious cycle structure. Based on this, strategic policy tasks were draw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finance system and increase academic width for local finance from the aspects of general knowledge, not the knowledge about local finance decentralization.

이 연구는 지방분권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재정분권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왜 필요한지에 대해 시스템사고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방재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변수들의 상호작용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재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변수들은 상당한 수준에서상호작용관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5개의 양(+)의 피드백 루프가 중심이 되어 급속한 성장과 급속한 쇠퇴를 거듭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지방재정분권화의 타당성에 대한 전략 지점이 인과지도 모델링을 통해 발견되었다. 특히, 선순환구조를 악순환의 구조를 변질시키는 변수(국고보조금, 부동산거래과세, 중앙정부차원의 지방재정조정제도, 지방정부채무 등)이 지속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지방재정시스템을 쇠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정책과제가 도출 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지방재정분권에 대해 부분에 지식이 아닌 전체적 지식의 관점에서 지방재정시스템을 이해하고 지방재정의 학문적 폭을 높여 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 M. Tieout,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64, No.9, pp.416-424, 1956. https://doi.org/10.1086/257839
  2. 최병호, "재정분권의 이론과 지방재정 적정구조", 한국지방재정학회 11월 세미나 발표논문, 2006.
  3. 한인섭, "경제위기의 지방재정수입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3호, pp.229-247, 2002.
  4. 최봉기, "한국지방자치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과제", 한국행정논집, 제22권, 제2호, pp.427-454. 2010.
  5. J, D. Sterman, Business Dynamics : Systems Thinking and Modeling for a Complex World. The McGraw-Hill Company, 2000.
  6. B. Richmond, Systems Thinking :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the 1990s and Beyond. System Dynamics, Vol.9, pp.113-133, 1993 https://doi.org/10.1002/sdr.4260090203
  7. I, Hassan, The Culture of Post-modernism, Theory Culture and Society, Vol.2, No.3, pp.119-132, 1984.
  8. 정석환, 홍영교, "대북포용정책의 차원과 타당화 : 북한핵무장의 국제적 역학관계구조 관점에서",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1호, pp.203-226, 2007.
  9.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재정세제 개혁, 정부혁신지방분권 종합백서, 2008.
  10. 허명순, "지방재정건전성 분석지표", 지방재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1.
  11. 이병량, "노무현 정부의 재정분권에 대한 평가: 성과와 한계, 한국행정연구, 제14권, 제4호, pp.215-242.
  12. 이상운, 하능식, "참여정부 재정분권의 수준 측 정과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2.
  13. 우명동,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의 성격에 관한 소고", 한국지방재정학회 동계세미나 발표논문집, 2007.
  14. 이재원, "신공공관리주의에 기반한 분권적인 지 방재정관리제도를 위한 대안모색",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5권, 제1호, pp.81-109.
  15. R. W. Bahl, "Fiscal Decentralization as Developmental Policy," Public Budgeting & Finance, Vol.19, No.2, pp.59-75, 1999. https://doi.org/10.1046/j.0275-1100.1999.01163.x
  16. 고성철, 이승우, "지방재정조정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분석: 기초지방자치단체 예산의 자주성과 건전성 측면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제17권, 제 2호, pp.119-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