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xual Contents on Presence, Arousal, and Sexual Attitude in 3D TV

3D TV 시청환경에서 선정적 영상이 실재감과 각성, 성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김효선 (충북대학교 인간심리연구소) ;
  • 권지영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 이상민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
  • 한광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2.12.04
  • Accepted : 2012.12.21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rimental effect of watching sexual content in three-dimensional (3D) moving pictures. An increasing amount of investment is put especially in 3D adult content to boost their 3D media industries. It is crucial that the effect of sexual contents on viewers be identified. In this experiment, a between-subject design was employed to analyze various effect of sexual content on participants whether they viewed the same stimuli in 3D or in 2D. In particular, the presence scaling was used to evaluate how real the video clip is. In addition, the permissiveness toward sexual behaviors and the level of sexual arousal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different effect of sexual content by dividing two separate groups in 2D and 3D cond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ose who watched a 3D video clip perceived higher sense of presence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a 2D video clip. Furthermore, subjects in 3D condition reported lower scores of permissive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s. This confirms that 3D display delivers more visual experience and has an impact on people in terms of perceiving sexual contents and changing their attitudes towards sexual behaviors.

삼차원 입체 영상으로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콘텐츠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여러 나라에서 삼차원 영상 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방법으로 성인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선정적인 콘텐츠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일한 콘텐츠일지라도 영상의 재현 방식(2D와 3D)의 차이에 따라 시청자 경험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영상 시청 후 실재감과 각성, 성적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삼차원 입체 영상을 본 참가자는 이차원 영상으로 시청한 참가자에 비해 영상의 실재감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보수적인 성적 태도를 가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삼차원 영상의 입체감이 선정적인 콘텐츠의 지각과 수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3D TV 방송의 시청 안정성을 위한 권고안을 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B. F. Coll, F. Ishtiaq, and K. O'Connell, "3DTV at home: status,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delivering a high quality experience,"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Workshop on Video Processing and Quality Metrics for Consumer Electronics VPQM, 2010.
  2. 엄기문, 이광순, 허남호, 유지상, "국내외 3DTV 방송 서비스 현황",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 6호, pp.120-128, 2011.
  3. 조재신, "영화'아바타'로 부활한 3D TV", The proceedings of KIEE, 제57권, 제12호, pp.76-77, 2010.
  4. 이재식, 박동진, "2D와 3D 영상 시청이 신체피로도, 재인기억 및 각성수준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 시청순서와 성차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13권, 제4호, pp.621-634, 2010.
  5. D. M. Hoffman, A. R. Girshick, K. Akeley, and M. S. Banks,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s hinder visual performance and cause visual fatigue," Journal of Vision, Vol.8, No.3:33, pp.1-30, 2008.
  6. 이형철, 이승현, 감기택, 서준호,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 및 장치, 공개특허 10-0995972, 2010.
  7. 3D 시청 안정성 협의회, 3D 영상 안전성에 관한 임상적 권고안(Ver.1.0), 2010.
  8. 3D 시청 안정성 협의회, 3D 영상 안전성에 관한 임상적 권고안(Ver.2.0), 2011.
  9. 김홍규, 윤용필, "3D 입체영상의 프레즌스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71권, pp.164-204, 2010.
  10. 이옥기, "3D 영상에 대한 매체별 수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1호, pp.330-371, 2011.
  11. 조은정, 권상희, 조병철, "3DTV 영상의 장르별 프레젠스 인식 특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4호, pp.253-292, 2010.
  12. 양호철, 정동훈, "3D 영상 특성 인식이 프레즌스, 그리고 프레즌스가 시각 피로도와 인지된 안구운 동에 미치는 영향", 방송공학논문지, 제17권, 제1 호, pp.60-71, 2012.
  13. 심미선, "지상파 텔레비전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사회가치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제2호, pp.116-222, 2007.
  14. 이한숙, "미디어 여가활용 실태와 의미-주 5일 근무제 실시 후 TV시청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29권, pp.133-142, 2005.
  15. 임정수, "텔레비전을 떠난 지상파 콘텐츠-수용자 선택과 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 권, 제2호, pp.74-99, 2010.
  16. 김형지, 윤영민, "청소년 대상 음악 프로그램의 선정성 연구-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 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49-88, 2011.
  17. 심미선, 박은희, 김경희, "방송심의 위반사례로 살펴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정성 및 폭력성 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159-204, 2011.
  18. 하승태, 박범길, 이정교,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pp.72-112, 2010.
  19. 이승구, "영상의 선정성과 폭력에 관한 소고", 영화교육연구, 제4권, pp.205-220, 2002.
  20. M. S. LaTour, R. E. Pitts, and D. C. Snook-Luther, "Female nudity, arousal, and ad respons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Journal of Advertising, Vol.19, No.4, pp.51-62, 1990. https://doi.org/10.1080/00913367.1990.10673200
  21. 최배석, "3D 입체 영상의 성인 멜로 영화 적합성 연구", 영화연구, 제47권, pp.215-237, 2011.
  22. 김미경, 안재현, 민병현, "멀티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이용 형태에 대한 연구", 동서언론, 제12권, pp.189-217, 2009.
  23. 송민정, 이화진, 최명호, "스마트 TV 서비스 혁 신에 따른 시장 전망: 파괴적 혁신 이론을 근간으로",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27권, 제12 호, pp.35-43, 2010.
  24. 황혜정, 영화 상품의 새로운 배급창구인 인터넷 창구의 가치분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9.
  25. P. K. Korgaonkar, and L. D. Wolin, "A multivariate analysis of web usag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9, No.2, pp.53-68, 1999.
  26. 임성준, 강정헌, "인터넷 VOD 극장에서의 영화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전략경영연구, 제9권, 제 1호, pp.53-76, 2006.
  27. 통계청, 2011년 사회조사보고서: 문화와 여가/주 말이나 휴일의 여가활동, 2011.
  28. R. L. Collins, M. N. Elliott, S. H. Berry, D. E.Kanouse, D. Kunkel, S. B. Hunter, and A. Miu, "Watching sex on television predicts adolescent initiation of sexual behavior," Pediatrics, Vol.114, No.3, pp.280-289, 2004. https://doi.org/10.1542/peds.2003-1065-L
  29. S. C. Martino, R. L. Collins, M. N. Elliott, A. Strachman, D. E. Kanouse, and S. H. Berry, "Exposure to degrading versus nondegrading music lyrics and sexual behavior among youth," Pediatrics, Vol.118, pp.430-441, 2006. https://doi.org/10.1542/peds.2006-1061
  30. L. Kalof, "The effect of gender and music video imagery on sexual attitud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39, No.3, pp.378-385, 1999. https://doi.org/10.1080/00224549909598393
  31. K. Eyal and D. Kunkel, "The effects of sex in television drama shows on emerging adults' sexual attitudes and moral judgment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2, No.2, pp.161-181, 2008. https://doi.org/10.1080/08838150801991757
  32. J. Freeman and S. Avons, "Focus group exploration of presence through advanced broadcast services," Proceedings of the SPIE, Vol.3959, pp.530-539, 2000.
  33. W. IJsselsteijn, H. de Ridder, and J. Freeman, "Effects of stereoscopic presentation, image motion, and screen size on subjective and objective corroborativemeasures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10, pp.298-311, 2001. https://doi.org/10.1162/105474601300343621
  34. G. Riva, F. Mantovani, C. S. Capideville, A. Preziosa, F. Morganti, and D. Villani, "Affective interactions using virtual reality: The link between presence and emotion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0, pp.45-56, 2007. https://doi.org/10.1089/cpb.2006.9993
  35. C. Dillon, E. Keogh, J. Freeman, and J. Davidoff, "Presence: Is your heart in it?," Proceedings of the Fourth Annual International Workshop on Presence, 2001.
  36. C. C. Bracken, "Presence and image quality: The case of high definition television,"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2002.
  37. 송종길, 이동훈, 지상파 TV 3사 버라이어티 프로 그램의 선정성 및 가학성 분석,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3.
  38. 한균태, 서영남, 최수진, "포르노마?-공중파와 케이블 자체체작 드라마의 선정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53-282, 2007.
  39. E. F. Schneider, "Death with a story: How story impacts emotional,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first-person shooter video gam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0, No.3, pp361-375, 2004.
  40. 함선혜, 임소혜, "영상 콘텐츠의 형식적 리얼리 즘과 유인가가 수용자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애니메이션과 실사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국 언론학보, 제53권, 제6권, pp.127-152, 2009.
  41. R. E. Thayer, The Biopsychology of Mood and Arousal.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42. I. L. Reiss, "The scaling of pre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26, pp.188-198, 1964. https://doi.org/10.2307/349726
  43. S. Sprecher, "Pre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scale," In C. Davis (Ed.), Handbook of sexuality-related measures (pp.499-500), SAGE Publications, Inc, 1998.
  44. G. C. L. Davey, S. Bickerstaffe, and B. A. MacDonald, "Experienced disgust causes a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 causal role for disgust in anxious psychopatholog,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pp.1375-1384, 2006. https://doi.org/10.1016/j.brat.2005.10.006
  45. 성미혜.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유형과 성의식, 성행동 및 성충동",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73-80, 2009.
  46. 심재웅, 조의진, "다매체.다채널 미디어 환경에 서 바람직한 청소년 보호 방안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성콘텐츠 이용과 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0권, 제1호, pp.79-118, 2009.
  47. E. L. Sprankle and C. M. End, "The effects of censored and uncensored sexually explicit music on sexual attitudes and perception of sexual activity," Journal of Media Psychology, Vol.21, No.2, pp.60-68, 2009. https://doi.org/10.1027/1864-1105.21.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