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uperworm, as known the larva of Zophobas morio, has been officially imported from 2011 and bred commercially in Korea. But it is named as the corrected scientific name, Zophobas atratus by junior synonym throughout traditional taxonomy in this study and newly designated Korean name as 'a-me-ri-ca-wang-geo-jeo-ri' in terms of resource management. Z. atratus was compared with wild native tenebrionids, Promethis valgipes and a commercial reared Tenebrio molitor on the basis of DNA barcode analysis. As the results, the average genetic divergence was 21.4% between Z. atratus and P. valgipes, and 20.9% between Z. atratus and T. molitor. These large divergences imply these tenebrionids species can be easily identified by DNA barcodes. The results of genetic divergences within species also suggest that Korean populations of Z. atratus, having the same haplotype, might be introduced from the same area of foreign country. On the other hand, a population of T. molitor was separated into two distinct intra-specific groups with DNA barcoding gaps ranged from 1.17- 2.19%. We suppose that domestic breeding entities of T. molitor might be introduced and mixed from two different local groups.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classification for two tenebrionid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can be used for the management of insect resources in Korea.
2011년부터 수입되어 사육 유통되는 슈퍼밀웜의 국내 샘플들은 형태 분류학적 검토를 통하여 Zophobas atratus란 종으로 밝혀졌고, Z. morio란 학명은 이 종의 동물이 명임이 확인되었다. 이 외래종은 자원 관리측면에서 국명을 '아메리카왕거저리'로 신칭하였다. 이 종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자생종 P. valgipes 및 사육종 T. molitor와 DNA 바코드 분석 결과, Zophobas atratus와 P. valgipes는 평균 21.4%, Zophobas atratus와 Z. morio는 20.9%의 염기분화율을 보여 DNA 바코드로 쉽게 종 동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Z. atratus의 국내집단은 모두 동일 일배체형을 갖고 있어 국외의 동일 지역 개체군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 반면에 Z. molitor는 동일 사육집단 내에서도 두 개의 종내 집단이 뚜렷이 구분되고 서로의 염기 분화율이 1.17 ~ 2.19%로 갭을 형성한 것으로 보아 국내 Z. molitor 사육개체들은 서로 다른 지역 집단이 혼입되어 대량 사육에 이용되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상업적으로 도입, 이용되는 2종의 거저리류의 분류학적 기초 정보가 국내 곤충자원 관리를 위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