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Received : 2012.12.06
  • Accepted : 2013.01.09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The smart education recognized new educational paradigm is going to be introduced in earnest in the field from 2015. We develop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mart education to be able to provide a guide to design the instruction which has a speciality compared to current instruction. Furthermore, we did an expert assessment to recognize the validation and applicability of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n apply this model to the field. As a result, we drew a positive conclusion for this instructional design model, which provides a base of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and focuses on expanding the ability of students living on 21st century.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eachers in the field who perform the smart education.

21세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교육은 2015년부터 학교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이 기존 수업과 어떤 차별성을 갖고 수업을 설계 적용해야하는 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수업 설계모형의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학교 현장에 시범 적용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체제적인 수업 설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수업 설계 모형이라는 긍정적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스마트교육을 실천하게 될 일선 현장의 교사들에게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러닝의 교수․학습 도구 로써 3D 콘텐츠 제작 및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83-496, 2012.
  2.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보도자료, 2011. 06. 27.
  3.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1. 10. 12.
  4. 임희석, 유길상, "스마트교육을 위한 세계의 ICT 활용 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7-43, 2012.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워크숍 자료집', 연구보고 TM 2012-17.
  6.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77-92, 2012. https://doi.org/10.7472/jksii.2012.13.5.77
  7.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238-303, 2012.
  8. 임걸,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9. 조영남,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수업설계 모형의 비교 연구", 중등교육연구, 제56권, 제3호, pp.67-92, 2008.
  10.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69-197, 2009.
  11. 김용,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35-143, 2011.
  12. J. Stav, K. Nielsen, G. Hansen-Nygard, and T. Thorseth, "Experiences Obtained with Integration of Student Response Systems of iPod Touch and iPhone into e-Learning Environments,"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8, No.2, pp.179-190, 2010.
  13. C. Cheong, V. Bruno, and F. Cheong, "Designing a Mobile-app-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Vol.11, pp.97-119, 2012.
  14. 유길상, "혼합현실을 이용한 스마트교육의 기술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9권, 제3호, pp.63-73, 2011.
  15. 이금자, 전우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상황학습 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한국초등교육, 제23권, 제1호, pp.251-268, 2012.
  16.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79-88, 2011.
  17. 김희봉, 김소현, 박종민,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79-113, 2010.
  18. J. Jarolimek, and C. D. Foste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8th ed.), NJ: Prentice Hall, 2004.
  19. 김형균, "반성적 실과수업을 위한 수업 설계 모형과 전략", 제15권, 제1호, pp.23-48, 2008.
  20. 엄우용, "설계이론과 수업체제설계: 성찰적 비판", 교육정보방송연구, 제6권, 제2호, pp.109-129, 2000.
  21.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김영애,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22.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Standards for the 2lst-century learner", 2009, Available at http://www.ala.org/aasl/guidelinesand - standards/learningstandards/standards, http://formanlibrary.wikispaces.com/file/view/A ASL+Implementation+plan.pdf
  23. 정재삼,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 -21세기를 대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교육공학연구, 제 12권, 제1호, pp.41-74, 1996.
  24. 이혜정, 최명숙,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WIDSS)의 개발 및 적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6권, 제2호, pp.223-248, 2010.
  25. 이유나, 이상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2호, pp.135-159, 2007.
  26. 박남수, "초기 사회과에서의 문제해결학습의 수용과 그 한계", 사회과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65-76, 2010.

Cited by

  1. Effects of Modality and Smart Device on Learner's Interaction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vol.15, pp.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