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aum Meditation Training on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ining Period

마음수련명상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의 효과

  • 이인수 (한국교통대학교 보건생명대학 응급구조학과) ;
  • 오진환 (수원과학대학교 간호과) ;
  • 권인숙 (이화여자대학 부속고등학교)
  • Received : 2012.11.19
  • Accepted : 2013.01.09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Maum Meditation and to compare effect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ining period on mental health of teachers. In this research, 2 types of design were used which were one-group pre-posttest design and descriptive study. In short-term Maum Meditation group, 2 times of surveys were carried out, 75 teachers in the faculty training filled out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In Long-term Maum Meditation group, 101 teachers who were attending Maum Meditation above one-year filled out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4.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health including 9 subscales for short-term Maum Meditation group. Also, in long-term Maum Medita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excepting paranoid ideation. It was founded that Maum Meditation is the way for the mental health promotion in short-term and long-term period.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for not only clinical application but also to strengthen coping ability for stress.

본 연구는 마음수련명상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단기집중 마음수련명상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연구와 지속적 마음수련명상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구성된다. 자료 수집 및 대상은 단기집중 마음수련명상군의 경우 2011년 7월 23일부터 7월 30일, 2012년 1월 7일부터 1월 14일에 마음수련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 7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지속적 마음수련명상군의 경우 2012년 2월 현재 마음수련명상을 1년 이상 지속한 교사들 101명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5일에서 2월 28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4.0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집중 마음수련명상군의 경우 마음수련명상 전후에 정신건강의 모든 하위영역(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속적 마음수련명상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 정도는 편집증을 제외한 8개 영역(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정신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마음수련명상이 단기적, 지속적 중재 모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임상에서의 단기적용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서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J. A. Moriana and J. Herruzo, "Stress and Burnout in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Vol.4, pp.597-621, 2004.
  2. 안귀여루, "직무스트레스와 보상이 기혼 여교사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연구, 제16권, 제3호, pp.241-249, 2008.
  3. 김미정, 이영순, "부적응적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교사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제6권, 제2호, pp.281-302, 2003.
  4. F. Clemente, M. Israel, J. C. Adolfo, and M. Emilio, "Reducing teachers' psychological distress through a mindfulness training program,"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Vol.13, No.2, pp.655-666, 2010. https://doi.org/10.1017/S1138741600002328
  5. 김윤희, 이광자, 유숙자, 이소우, 김소야쟈, 정신간호특론, 수문사, 2001.
  6. 김지수, 이승범, "홀리스틱적 기반을 둔 명상 호흡법이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효과", 홀리스틱 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71-86, 2009.
  7. 나윤길, 마음수련 명상 및 성격유형별 심상훈련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 박상규, "감정표현에 기반을 둔 명상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4호, pp.995-1007, 2008.
  9. 배재홍, "수행기간에 따라 K-MBSR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98-208,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198
  10. 대한보완통합의학회, 통합의학, 도서출판 한미의학, 2012.
  11. 허동규, "명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반응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32-240, 2009.
  12. 최연자, "오중유식과의 명상요법이 간호학생의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27-135, 2006.
  13. 우명, 이세상 살지말고 영원한 행복의 나라가서 살자, 참 출판사, 2011.
  14. 김미한, "명상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38-348, 2012.
  15. 안이환, "마음수련 훈련과 아동의 상황불안", 인문학논총, 제11권, 제2호, pp.215-233, 2006.
  16. http://taeguskh@Korea.kr
  17. 김정호,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4권, pp.35-60, 1996.
  18. 정동명, 이상률, "마음수련의 원리와 심신의학 효과분석", 한국정신과학학회지, 제5권, 제2호, pp.37-48, 2001.
  19. 정준용, 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 전진경, 박점희, "마음수련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간호과학지, 제8권, 제1호, pp.91-103, 2004.
  21. 최경숙, 이영순, 천성문, "마음수련이 신경증적 중학생의 분노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인문학논총, 제11권, 제1호, pp.75-101, 2006.
  22. 박미란, 마음수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3. 이인수, 김지희, "마음수련 명상이 교사의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5722-5730, 2011.
  24. 이석기,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수련 청소년 캠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5. 곽재용, "마음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지도", 초등교육연구, 제15권, pp.151-225, 2005.
  26.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간의 관계 구조분석과 마음 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7. 최연자, "명상요법이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회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33-142, 2010.
  28. 장선주, 하양숙, "국선도를 활용한 명상프로그램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스트레스 반응,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7 권, 제3호, pp.302-310, 2008.
  29. N. Ivan, and F. K. Karlijn,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terven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s increased Mindfulness indeed the mechanism?," Ann Behav Med, Vol.35, pp.331-340, 2008. https://doi.org/10.1007/s12160-008-9030-2
  30. 정인순, 명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1. 배재홍, 장현갑,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1권, 제4호, pp.673-688, 2006.
  32. http://www.maum.org/introduce/010301.asp
  33. L. R. Derogatis, R. S. Lipman, and L. Covi "SCL-90: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 Psychopharm Bull, Vol.9, pp.13-27, 1973.
  34. 김재환, 김광일, 원호택, "정신과 외래환자의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의 진단별 특성", 정신건강연구, 제1집, pp.150-168, 1983.
  35. 배행자, "알코올 중독과 비알코올 중독 가정 중1학생의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40-249, 2005.
  36. 정혜선, 송은주,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병사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53-362, 2008.
  37.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833-850, 2007.
  38. 최연자, "명상요법이 간호학생의 사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42-249, 2007.
  39. 최연자, "불교의 사심사관적 명상요법이 간호학생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29-240, 2001.
  40. J. M. G. Williams, J. D. Teasdale, Z. V. Segal, and J. Souls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reduces over 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in formerly depressed pati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9, No.1, pp.150-155, 2000. https://doi.org/10.1037/0021-843X.109.1.150
  41. 이봉건,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이 대학생의 우울 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7권, 제1호, pp.333-345, 2008.
  42. L. E. Carlson, M, Speca, K. D. Patel, and E. Goodey, "Min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mood, symptoms of stress, and immune parameters in breast and prostate cancer outpatients," Psychosom Med, Vol.65, pp.571-581, 2003. https://doi.org/10.1097/01.PSY.0000074003.35911.41
  43. C. A. Lengacher, V. Johnson-mallard, and J. Post-whit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MBSR) for survivors of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9; Epub February 20. DOI:10.1002/pon.1529, 2009.
  44. 박미정, 권기남,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25-138, 2010.
  45. 김유미, "명상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안정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제18권, 제2호, pp.105-115, 2009.
  46. A. J. Zautra, M. C. Davis, P. Finan, A. Kratz, P. Nicassio, B. Parrish, J. W. Reich, and H. Tennen, "Comparison of cognitive behavioral and mindfulness meditation interventions on adaptation to rheumatoid arthritis for patients with and without history of recurrent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6, No.3, pp.408-421, 2008. https://doi.org/10.1037/0022-006X.76.3.408
  47. 이재기, "하나되는 마음수련법", 한국정신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제10권, pp.39-45, 1999.
  48. R. Manocha, D. Black, and L. Wilson,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long-term mediator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350674. Epub 2012 May 7, Free PMC Article.
  49. 강현선, 김자영, 이진환, 성우용, "신체증상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명상의 결합을 응용한 치험 2례", 동의신경정신 과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41-250, 2008.
  50. 이화순, 다도명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1. 장현갑, "명상의 심리학적 개관-명상의 유형과 정신생리학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권, 제1호, pp.15-33, 1996.

Cited by

  1. A Phenomenological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vol.16, pp.3, 2016, https://doi.org/10.5388/aon.2016.16.3.158
  2. The Effect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on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Sleep Quality vol.40, pp.5, 2017, https://doi.org/10.1097/NCC.0000000000000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