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Marriage Migrant Women's Experiences in the World of Life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11.05
  • Accepted : 2012.11.20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pture how marriage migrant women, who are burdened with the luggage of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past,' reconstruct their own 'experiences in reality' as subjective agents after their immigration into a new space. By appl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world of life in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come to have experiences in the dimensions of bodilihood, spatiality, temporality, and related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rriage migrant women never think of their bodiliness as the subject of discrimination though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skin colors and cultural aspects, and make efforts to overcome prejudices in reality withtheir pride of body. As for the spatiality, marriage migrant women attempts at a spatial turn in which they reconstruct a novel sociocultural space. With respect to the temporality, marriage migrant women recognize themselves not as passive subjects who only resent reality but as being prepared for future actively. As for the relatedness, marriage migrant women show life in which they pioneer their own areas on the basis of extended personal relations.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과거성'이라는 이주의 짐꾸러미를 안은 채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주 후 자신들의 체험들을 어떻게 주체적 행위자로 재구성해 나가는지를 포착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게 되는 생활세계의 체험을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 관계성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신체성은 피부색이나 문화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을 뿐 결코 차별이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몸에 대한 당당함으로 현실의 편견을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결혼이주여성의 공간성은 새로운 사회문화적 공간을 재구성하는 '공간적 전환(spatial turn)을 시도한다. 결혼이주여성의 시간성은 현실의 탓만을 하는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고자 하는 인식을 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관계성은 확장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자신의 영역을 개척하는 삶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실, 김정선, "지구/지역 시대 개인들의 행위 전략으로서 국제결혼: 새로운 아시아/지역으로서의 충남 J마을 사례 연구", 지구화 시대의 현장 여성주의, 한국여성연구원편, 서울: 이화여자대하교 출판부, 2007.
  2. D. Massey, Space, Place,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ceapolis, 1995.
  3. 정현주, "경계를 가로지르는 여성의 에이전시: 국제결혼이주연구에서 에이전시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09-1211, 2009.
  4. 이현주, 강혜규, 정경희,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비교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5. 한인영, 김선민, 김진숙, 김진숙,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0권, pp.385-417, 2008.
  6. 임병조, 류제현, "포스트모던 시대의 적합한 지역 개념의 모색: 동일성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4호, pp.582-600, 2007.
  7. 김왕배, 도시, 공간, 생활세계: 계급과 국가 권력의 텍스트 해석, 서울: 한울, 2000.
  8. 박신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및 주체성의 사회적 위치성에 따른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pp.40-53, 2008.
  9. 황미숙, "생활세계에 있어서 몸 현상의 이해론적 해석",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4호, pp.389-399, 2005.
  10. 송민애, 다문화사회에서 이주여성의 몸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1. 이형하,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3호, pp.219-245, 2010.
  12. 이형하, 안효자, 조원탁, "결혼이주여성의 '지역 주민으로 참여하기' 과정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집, pp.133-157, 2010.
  13. 최금해, "고학력 조선족 국제결혼 여성들의 한국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재외한인연구, 제22호, pp.139-173, 2010.
  14.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0호, pp.319-359, 2007.
  15. Harvey, David, Justice, Nature, and the Geography of Difference, Oxford: Blackwell, 1996.
  16. 김영옥,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제14호, pp.31-64, 2010.
  17. K. M. Lin, M. Masuda, and L. Tazuma, "Adaptational problems of Vietnamese refugees. Part III. Case studies in clinic and field; Adaptive and maladaptive," The Psychiatric Journal of University of Ottawa, Vol.7, pp.173-183, 1986.
  18. B. Chiswick, Y. Lee, and P. Miller, "Patterns of immigrant occupation attainment in a longitudinal survey," International Migration, Vol.41, No.4, pp.47-69, 2003.
  19. D. Rooth and J. Ekberg, "Occupational mobility for immigrants in Sweden,"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39, No.3, pp.57-77, 2006.
  20.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29호, 제6호, pp.1028-1220, 1999.
  21. Y. Lincoln and E. Guba, "The impact of illness on later lif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1, pp.65-172, 1985.
  22.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nv, Canada: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Press, 1990, 신경림, 안규림 역,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동녘, 1994.
  23. 이근무, 김진숙, "국제 결혼한 남성들의 생애사 연구: 7인의 새로운 디아스포라 이야기",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135-162, 2009.
  24. T. Fasit, "Transnationalization in international migration: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citizenship and culture," Ethnic and Racial Studies, Vol.23, No.2, pp.189-222, 2002.
  25. 정의정, 하규수,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 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22-231, 2012.
  26. 박근수, 신희정,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07-31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07

Cited by

  1.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nse of Pressure Shown from the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of Mothers-in-Law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vol.14, pp.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