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tic study on Vertical Montage as expressed in Assoziation Montage -Focused on animation, Paprika-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난 수직적 몽타주 분석 -애니메이션 파프리카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0.05
  • Accepted : 2012.12.27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interpretation of vertical montage expressed in assoziation montage focused on animation, Paprika. Montage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by Pudovkin, Eisenstein, Jacques Aumont and others till now. However,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visual image of montage. Image is made of visual element and aural element. These tw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ximize the effect. It is believed that the study subject can be approached in more depth, if aural elements w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assoziation montage which analyzed visual image in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how vertical montage has been used in logical montage and optical conflict montage and what meanings they generated.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followings. In logical montage and optical conflict montage, vertical montage complemented visual image by natural concurrence as a whole. Vertical montage also showed linked relationship, which reflects overall emotion by melodious concurrence. In addition, when there was melodious concurrence at certain time, place or unclear space, the elements showed continuity which made them link with relationship. However, when the role that cuts that continuity, in other words, when the tonal element, which let audience partially immerse, would be properly used when the space and time would change or get reversed, the effect was maximized. It also expressed a turning point of an event and enhanced the concentration of audience on the characters.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파프리카> 작품을 통하여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수직적 몽타주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몽타주는 프도프킨, 에이젠슈테인, 자끄 오몽 등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몽타주를 시각적 이미지에 보다 더 비중을 두었다. 영상은 시각과 청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두 관계는 서로 상호 작용을 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앞서 연구한 시각 영상을 분석한 연상 몽타주에 기초하여 청각적 요소를 분석한다면, 좀 더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수직적 몽타주는 논리적 몽타주와 충돌 몽타주에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어떠한 의미를 생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수직적 몽타주는 논리적 몽타주와 충돌 몽타주에서 전체적으로는 자연적인 일치로 시각 영상에 대한 보완을 하고 선율적 일치로 전체적인 정서를 반영하게 하는 연결 관계를 보였다. 또한 시간과 장소, 그리고 명확하지 않은 공간들에서 운율적 일치를 나타낸다면, 그 요소들이 서로 관계적으로 이어지게 하는 연속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그 연속성을 끊어내는 역할, 즉 부분적으로 관객을 몰입하게 하는 음조적 요소가 공간과 시간을 뒤집거나 변화할 때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사건의 전환점을 나타내며 등장인물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수, "충돌몽타주의 이론의 본질과 재평가", 한국영화학회, pp.167, 1996.
  2. 박지훈, "현대 영화에 적용된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수직적 몽타주와 그에 따른 사운드 몽타 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영화 연구36호, pp.291, 2008.
  3. 임운주,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에서 나타나는 연상 몽타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09.
  4. 이철웅, 영화와 음악, 이정선음악사, 1998.
  5. 루이스 자네티, 김진해 역,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87.
  6.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홍상우역, 몽타주, 경성 대학교 출판부, 2007.
  7. 홍상우,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몽타주", 경성대학교 출판부, p.563, 2006
  8. Eisenstein, "Montage of Attractions" 1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