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있어서 산사태 유발강우의 강도-지속시간 한계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for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in South Korea

  • 김석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전근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민석 (산림조합중앙회 엔지니어링사업본부) ;
  • 김민식 ((특)사방협회) ;
  • 김진학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동균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Kim, Suk-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un, Kun-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Seok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Engineering) ;
  • Kim, Min-Sik (Korean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
  • Kim, Jin-Ha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Ky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3.09.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1963년부터 2012년까지 과거 50여 년간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한 478건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시간단위 강우자료와 분위회귀분석을 토대로 산사태 유발강우의 강도(I, mm/hr)-지속시간(D, hrs) 관계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I-D 한계식 "$I=9.64D^{-0.27}$, $4{\leq}D{\leq}76$" 이 도출되었고, 발생확률별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식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광역적 산사태 예 경보 시스템의 개선 및 실효성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triggering of shallow landslides in South Korea, based on hourly rainfall data for 478 shallow landslides during 1963-2012. Rainfall intensity(I) and duration(D) relationship was analyzed to obtain the I-D threshold for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using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he I-D threshold equation from in this study is: $I=9.64D^{-0.27}$($4{\leq}D{\leq}76$), where I and D are expressed in millimeters per hour and hours, respectively. In addition, rainfall criteria were proposed to predict the potential to cause landslides, based on values of I-D and cumulative rainfall derived from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ur findings may provide essential data and important evidences for the improvement of landslide warning and evacuation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방재연구소. 2005.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연구(II): 강우량 자료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pp. 234.
  2. 국토해양부. 2013.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유형별 피해저감 전략수립연구 연구보고서. pp. 262.
  3. 기근도. 2012. 이상기후와 우리나라의 산사태. 기후연구 7(2): 119-135.
  4. 김경석. 2008.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8(5C): 263-271.
  5.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 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101(1): 28-35.
  6. 윤찬영, 전경재, 김경석, 김기홍, 이승우. 2010.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6(10): 27-38.
  7. 이영남. 1991. 지반공학과 자연재해(II): 산사태. 대한토질공학회지 7(1): 105-113.
  8. 최 경. 1982. 산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고찰. 산림 200: 65-73.
  9. 최 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5.
  10. 한중근. 2001. 부산지역에서의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 24-31.
  11. 홍원표, 김상규, 김마리아, 김윤원, 한중근. 1990. 강우로 기인되는 우리나라 사면활동의 예측. 대한토질공학회지 6(2): 55-63.
  12. Aleotti, P. 2004. A warning system for rainfall-induced shallow failures. Engineering Geology 73: 247-265. https://doi.org/10.1016/j.enggeo.2004.01.007
  13. Caine, N. 1980.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Geografiska Annaler 62A: 23-27.
  14. Chien-Yuan, C., Tien-Chien, C., Fan-Chieh, Y., Wen-Hui, Y. and Chun-Chieh, T. 2005. Rainfall duration and debrisflow initiated studies for real-time monitoring. Environmental Geology 47: 715-724. https://doi.org/10.1007/s00254-004-1203-0
  15. Guzzetti, F., Peruccacci, S., Rossi, M. and Stark, C. 2008.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 an update. Landslides 5: 3-17. https://doi.org/10.1007/s10346-007-0112-1
  16. Keefer, D., Wilson, R., Mark, R., Brabb, E., Brown, W., Ellen, S., Harp, E., Wieczorek, G., Alger, C., Zatkin, R. 1987. Real-time landslide warning during heavy rainfall. Science 238: 921-925. https://doi.org/10.1126/science.238.4829.921
  17. Koenker, R. 2006. Quantile Regression in R: A Vignette. http://www.econ.uiuc.edu/-roger/research/rq/vig.pdf.
  18. Saito, H., Nakayama, D. and Matsuyama, H. 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in Japan. Geomorphology 118: 167-175.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9.1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