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for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in South Korea

우리나라에 있어서 산사태 유발강우의 강도-지속시간 한계

  • Kim, Suk-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un, Kun-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Seok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Engineering) ;
  • Kim, Min-Sik (Korean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
  • Kim, Jin-Ha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Ky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석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전근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민석 (산림조합중앙회 엔지니어링사업본부) ;
  • 김민식 ((특)사방협회) ;
  • 김진학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동균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We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triggering of shallow landslides in South Korea, based on hourly rainfall data for 478 shallow landslides during 1963-2012. Rainfall intensity(I) and duration(D) relationship was analyzed to obtain the I-D threshold for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using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he I-D threshold equation from in this study is: $I=9.64D^{-0.27}$($4{\leq}D{\leq}76$), where I and D are expressed in millimeters per hour and hours, respectively. In addition, rainfall criteria were proposed to predict the potential to cause landslides, based on values of I-D and cumulative rainfall derived from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ur findings may provide essential data and important evidences for the improvement of landslide warning and evacuation system.

이 연구에서는 1963년부터 2012년까지 과거 50여 년간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한 478건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시간단위 강우자료와 분위회귀분석을 토대로 산사태 유발강우의 강도(I, mm/hr)-지속시간(D, hrs) 관계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I-D 한계식 "$I=9.64D^{-0.27}$, $4{\leq}D{\leq}76$" 이 도출되었고, 발생확률별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식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광역적 산사태 예 경보 시스템의 개선 및 실효성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2005.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연구(II): 강우량 자료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pp. 234.
  2. 국토해양부. 2013.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유형별 피해저감 전략수립연구 연구보고서. pp. 262.
  3. 기근도. 2012. 이상기후와 우리나라의 산사태. 기후연구 7(2): 119-135.
  4. 김경석. 2008.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8(5C): 263-271.
  5.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 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101(1): 28-35.
  6. 윤찬영, 전경재, 김경석, 김기홍, 이승우. 2010.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6(10): 27-38.
  7. 이영남. 1991. 지반공학과 자연재해(II): 산사태. 대한토질공학회지 7(1): 105-113.
  8. 최 경. 1982. 산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고찰. 산림 200: 65-73.
  9. 최 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5.
  10. 한중근. 2001. 부산지역에서의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 24-31.
  11. 홍원표, 김상규, 김마리아, 김윤원, 한중근. 1990. 강우로 기인되는 우리나라 사면활동의 예측. 대한토질공학회지 6(2): 55-63.
  12. Aleotti, P. 2004. A warning system for rainfall-induced shallow failures. Engineering Geology 73: 247-265. https://doi.org/10.1016/j.enggeo.2004.01.007
  13. Caine, N. 1980.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Geografiska Annaler 62A: 23-27.
  14. Chien-Yuan, C., Tien-Chien, C., Fan-Chieh, Y., Wen-Hui, Y. and Chun-Chieh, T. 2005. Rainfall duration and debrisflow initiated studies for real-time monitoring. Environmental Geology 47: 715-724. https://doi.org/10.1007/s00254-004-1203-0
  15. Guzzetti, F., Peruccacci, S., Rossi, M. and Stark, C. 2008.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 an update. Landslides 5: 3-17. https://doi.org/10.1007/s10346-007-0112-1
  16. Keefer, D., Wilson, R., Mark, R., Brabb, E., Brown, W., Ellen, S., Harp, E., Wieczorek, G., Alger, C., Zatkin, R. 1987. Real-time landslide warning during heavy rainfall. Science 238: 921-925. https://doi.org/10.1126/science.238.4829.921
  17. Koenker, R. 2006. Quantile Regression in R: A Vignette. http://www.econ.uiuc.edu/-roger/research/rq/vig.pdf.
  18. Saito, H., Nakayama, D. and Matsuyama, H. 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in Japan. Geomorphology 118: 167-175.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9.1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