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Efficiency of Chestnut-Cultivating Households in Chungnam Province

충남지역 밤나무 재배 임가의 경영 효율성 분석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study, utilizing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hich is one of the nonparametric estimation methods, aims to evaluat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chestnut tree cultivators in such provinces in Chungchungnam-do as Cheong-yang, Gong-ju, Bu-yeo and so on.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is based on inputs and outputs of 20 forestry households surveyed in the 2012 survey titled 'A Study on Current Level and Condition of Chestnut Cultivation and Management', whi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12 to October 2012. The elements of inputs are composed of management cost, harvesting cost, material cost, non-operation expenses and cultivation area, while the element of output is a gross margin only. Then the study analyzes a technical efficiency, a puretechnical efficiency and a scale efficiency using CCR and BCC model among DEA methods. Based on that, it also provides improvement methods for forestry households that turned out to be ine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 of DEA analysis, the study additionally compares a result of this efficiency study with that of chestnuts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verage value of technical efficiency analyzed was 0.667, proving to be inefficient in general. Given that the average value of pure-technical efficiency was 0.944 and that of scale efficiency was 0.703, it can be inferred that inefficiency exists in the field of scale, not in the field of cultivation techniques. As for forestry households with the efficiency score of 1, it is shown that there were 6 households that recorded 1 in the technical efficiency field and 13 households that recorded 1 in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Meanwhile, there were 6 households that recorded 1 in all of the three aspects. In the comparison with the scores from chestnuts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there were 5 households made a high score of over 80, among which are 3 households with score 1 in the technical efficienc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hestnuts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are proved to have the same result, both of them showing the same households that recorded the highest score and the lowest score. This means the management efficiency evaluation using DEA can be applied to the fieldwork along with the chestnuts management standard diagnostic table.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청양, 공주, 부여 등 충남지역의 밤나무 재배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자료는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밤나무 경영에 관한 실태조사'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관리비, 수확비, 재료비, 간접비, 재배면적)와 산출요소(조수입액)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DEA 분석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기술효율성은 평균값이 0.667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분석되었고 그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이 평균 0.944, 규모효율성이 평균 0.703으로 나타나 재배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순수기술효율성이 높았지만 규모의 효율성에서는 비효율성이 존재하였다. 효율성이 1인 임가는 기술효율성 6개, 순수기술효율성 13개, 규모효율성이 6개 임가로 나타났고, 3개 모두 1인 임가는 6개로 나타났다. 표준진단표 점수와 비교한 결과 80점이상 고득점을 기록한 임가는 5개로 나타났고 이 중 기술효율성이 1로 분석된 임가는 3개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의 최저점수와 최고점수를 기록한 임가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DEA를 이용한 경영 효율성 평가가 표준진단표와 함께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규. 2008. DEA를 이용한 지주회사 편입이후의 은행 효율성 분석. 금융공학연구 7(3): 107-128.
  2. 고종태, 이향미. 2011. DEA를 이용한 강원도 파프리카수출농가 경영효율성 분석. 식품유통연구 28(2): 1-23.
  3. 김동현. 2011.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을 이용한 산림조합 효율성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7.
  4. 김성호, 최대성, 이동원. 2007. 효율성 분석 이론과 활용. 서울경제경영출판사. pp. 362.
  5. 김재성, 이욱. 2009. 밤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504-511.
  6. 김재성, 정병헌, 주린원, 최수임. 2004. 밤 유통구조 및 경제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12(1): 12-21.
  7. 박용배. 2008. 밤나무 재배 경영실태 분석. 한국임학회지 97(4): 398-407.
  8. 산림청. 2012. 임업통계연보. pp. 5-35.
  9. 신동철, 신해식, 이종인. 2011. 철원군 양돈농가의 경영효율성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8(1): 135-150.
  10. 우희성, 우종춘, 원현규. 2012. DEA 기법을 이용한 숲가꾸기 경영 효율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101)4: 729-736.
  11. 원현규. 2012.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활동의 효율성 분석. 국립산림과학원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pp. 36-42.
  12. 전준헌, 원현규, 유병일, 이호승, 이숙향, 한상렬. 2012a. 밤 생산 임가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경영진단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4(16): 29-39.
  13. 전준헌, 유병일, 이정민, 지동현, 김연태, 강길남. 2012b. 밤나무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임학회지 (101)4: 695-702.
  14. 지동현, 김연태, 강길남, 오도교, 노희경, 김세빈, 곽경호. 2010. 벤치마킹을 이용한 밤 재배 경영모델 개발-충청남도에 적용 가능한 밤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 37(3): 515-522.
  15. 최수임, 김재성. 2006. 친환경 밤의 생산실태 및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5(1): 73-81.
  16. Banker, R.D., Charnes, A. and Cooper, W.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7. Charnes, A., Cooper, W.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8. Debreu, G. (1951). The Cofficient of Resource Utilization. Econometrica 19: 273-292. https://doi.org/10.2307/1906814
  19. Farrell, M.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eries A, 2(3): 253-281.
  20. Koopmans, T.C. (1951). An Analysis of Production as an Efficient Combination of Activities. In Activity Analysis of Production and Allocation, Wiley, New York. pp. 3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