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tainable Production Strategy of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using the Maximum Entropy Technique

최대 엔트로피 기법으로 도출한 지속 가능한 송이 생산 전략

  • Choi, Junyeong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o, Ja-Choo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un, Yeo-Chang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is one of the most profitable forest products in Korea. We postulated a hypothesis that a high rate of returns to labor input could make the harvest of pine mushroom off the optimum level. In the view of developing a sustainable production strategy for pine mushroom producers, production of pine mushroom collectors and pine mushroom growth function were estimated using maximum entropy method. Annual pine mushroom production and labor input were the data used in the estimation of production function of pine mushroom collectors and pine mushroom growth function. The level of sustainable maximum production derived from the estimated function. The production function estimated shows that production of pine mushroom is affected more by the resource of pine mushroom stocked in the forests than by labor that households put in forestry business. The production function of mushroom collectors and the estimated growth function indicate that pine mushroom harvests for the period of 2005-2011 did not reach the potential level of maximum sustainable produc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pine mushroom harvest should be controlled until the resource stock of pine mushroom in the forests increases to the level of maximum sustainable production.

송이(Tricholoma matsutake)는 인공재배가 불가한 임산물로 노동 이외의 투입 요소가 적은 반면 가격이 높아 산촌 주민의 수익 증대에 큰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송이의 특성은 과도한 채취로 이어져 송이 자원의 고갈이 염려되는 상황이다. 송이의 지속 가능한 생산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송이채취업의 생산함수와 송이의 성장함수를 추정하였다. 두 함수 추정에 필요한 정보의 제약을 고려하여 최대 엔트로피기법을 활용하였다.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송이의 생산량과 노동 투입량만으로 송이채취업의 생산함수와 송이의 성장함수를 도출한 것이다. 연구 결과, 송이 생산량은 노동 투입보다 자원량에 영향을 더 받았으며, 노동투입 부문에서는 송이채취업을 전업으로 하는 임가의 생산에 대한 노동 탄력성이 송이채취업을 겸업으로 하는 경우보다 컸다. 송이채취업의 생산함수와 송이의 생장함수를 이용하여 송이의 지속가능한 최적 생산 조건을 도출하였는데, 최근 7년의 실제 송이 생산은 지속가능한 최적 생산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송이 생산이 지속 가능한 최대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송이 자원량이 되도록 지금의 송이 생산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가강현, 허태철, 박현, 김희수, 박원철. 2010. 송이 감염묘로부터 송이균의 생장과 균환 형성. 한국균학회지 38: 16-20.
  2. 가강현. 2001. 송이 증수 및 인공 재배 가능성. 버섯 5: 199-218.
  3. 구창덕, 김교수, 박현. 1995. 한국에서 9월의 기상인자가 송이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극복방안. 한국임학회지 84: 479-488.
  4. 김교수, 박현, 가강현, 배상원, 정진현, 류천인, 김현중. 1995. 한국에서 송이증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버섯재배 기술개발 특별강연회, pp. 41-53.
  5. 김교수, 박현, 김세현. 1997. 남원 소재 소나무재의 환경조절 처리가 송이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6: 399-404.
  6. 김기철, 권오상. 2000. 한국 연근해 멸치자원량 추정 - Maximum Entropy 기법의 응용. 자원.환경경제연구 9: 285-309.
  7. 김주연. 2000. 관수에 의한 송이버섯의 안정적 생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논문집 4: 663-667.
  8. 김지연, 서창완, 권혁수, 류지은, 김명진. 2012.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환경영향평가 21: 593-607.
  9. 박 현, 정병헌. 2010. 공판되는 송이의 등급별 비율을 통한 향후 생산량 추이 예측. 한국임학회지 99: 479-486.
  10. 심교문, 고철순, 이양수, 김건엽, 이정택, 김순정. 2007. 양양지역 송이 발생과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한국농림기상학회지 9: 188-194.
  11. 이진희, 신기일. 2000. 조건부 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송이버섯 생산량 예측. 응용통계연구 13: 307-320.
  12. 이현우. 2012. 4차 임상도와 HyTAG 모형에 의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의 공간분포 및 탄소저장량 예측.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
  13. 조덕현, 이경준. 1995. 29개 지역의 10년간 송이발생림의 기상인자와 (氣象因子) 송이발생량과의 상관관계. 한국임학회지 84: 277-285.
  14. 표희동. 2006. 우리나라 멸치자원량 추정을 위한 잉여생산모델과 최대엔트로피모델의 비교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8: 19-30.
  15. Golan, A., Judge, G. and Karp, L. 1996.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estimation and inference in dynamic models or Counting fish in the sea using maximum entropy.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20: 559-582. https://doi.org/10.1016/0165-1889(95)00864-0
  16. Marten, A.L. and Moore, C.C. 2011. An options based bioeconomic model for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of invasive species. Ecological Economics 70: 2050-2061. https://doi.org/10.1016/j.ecolecon.2011.05.022
  17. Paris, Q. and Howitt, R.E. 1998. An Analysis of Ill-Posed Production Problems Using Maximum Entrop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0: 124-138. https://doi.org/10.2307/3180275
  18. Phillips, S.J., Anderson, R.P. and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5.03.026
  19.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https://doi.org/10.1002/j.1538-7305.1948.tb01338.x
  20. Verhulst, P. 1838. Notice sur la loi que la population poursuit dans son accroissement. Correspondance mathmatique et physique 10: 11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