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ntitative Analysis of Urban District Centers and Community Spheres Using GIS, A Case Study in Jeonju City - Focused on Analyzing Land Prices and Major Facilities of Communities -

GIS를 이용한 지가 및 생활중심시설 분석을 통한 생활권 중심과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대상으로 -

  • 이대일 (전북대학교 대학원 건축.도시공학과) ;
  • 장한두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13.03.25

Abstract

The constitution of urban district centers and community spheres is useful to plan community unit for regeneration of urban residential areas, and the methods of organization is important.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1) to present methods to identify urban district centers and community spher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2) to suggest evaluation index standards to construct them. In this stud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as used and several steps were followed. At first, the expected urban district centers were discovered by investigating land prices and numbers of major facilities in Jeonju city. Second,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was considered to find out the final urban district centers with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land prices and distance to expected urban district. Third, the evaluation method and index standards were proposed to plan urban districts and communiti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is evaluation process and results are helpful to restructure urban planning system by constructing urban district centers and community spheres.

Keywords

References

  1. 김광국, 황지욱, "특성감안가격결정모형을 활용한 도심부 토지 이용의 지가결정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1), pp.237-244, 2010.
  2. 김인희, 장남종,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근린생활권계획 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3. 김태호 등, "보행거리에 따른 역세권 내부 지가분포 및 영향 요인 비교 연구: 수도권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9(3), pp.93-105, 2008.
  4. 김한수 등, "도심부 토지이용 실태와 지가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11), pp.259-266, 1998.
  5. 김혜영, "공간구문론 및 지리적 가중회귀기법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6. 노재윤 등, "지가분석을 통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8 n.1, 2007.
  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1. 도시설계: 이론편, 보성각
  8. 맹다미, 장남종, 서울시 중심지체계 개편에 따른 생활중심의 도입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9. 서울시, 2020년 서울도시기본계획, 2006.
  10. 성은영, 임강륜, 단독주택지내 생활중심시설의 공급 방안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11. 신중진, 서울시 주거지종합관리계획 시범사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SH공사, 2010.
  12. 오병록, 김기호, 기성시가지내 뉴타운의 생활권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8, n.4, 2007.
  13. 오세현, 이우종, "평택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7(2), pp.33-44, 2012.
  14. 이희원, "도시주거지 건물속성에 따른 지가의 공간분포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9(4), pp.99-106. 2007.
  15. 이희원, "도시주거지 공간특성변화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6. 익산시, 2025년 익산도시기본계획, 익산시청, 2005.
  17. 장한두, "주민의 생활범위 인식과 거주환경의 평가: 분당신도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5(6), pp.3-14. 2009.
  18. 전주시, 2010년 전주시 도시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변경), 2008.
  19. 전주시, 2021년 전주도시기본계획, 2002.
  20. 정대영 등,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특성에 따른 중심지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7(3), pp.65-70, 2009.
  21. 최정민, 일본의 도시계획체계와 생활권계획의 운영실태 연구 : 동경도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