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복합장묘시설 배치계획의 특성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Site Plan of Complex Funeral Facilities in Korea

  • 발행 : 2013.03.25

초록

Today, Korean funeral facilities are now built with a combination of crematorium, charnel house and funeral.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plan of complex funeral facilities in Korea. In doing so, it analyzes the circulations of users such as the family of the deceased and visitors to their charnel house in the complex and explores the degree of the visual blockage between the crematorium and charnel hous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irculation of the family of the deceased has to be separated with the circulation of the visitors to their charnel house. Second, it is imperative to plan the visual blockage between the crematorium and charnel house by natural landscape or artificial design. It is supposed to contribute towards a new architectural planning model in terms of the site plan for complex funeral facilitie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혜, 서울시 장사(葬事)시설 수급계획 및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2. 김능중, 화장문화에 대한 태도 및 장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1
  3. 김도형, 화장장과 납골당의 건축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아주대 석사학위논문, 2002
  4. 김우성, 도시계획시설 입지선정에 따른 지역갈등에 대한 연구, 세종대 석사학위논문, 2012
  5. 김현균, 국내 화장시설의 공간구성 실태 파악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012
  6. 김희연, 경기도 화장시설 건립모형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9
  7. 민병욱, 화장문화 정착을 위한 장례문화시설 설계기준 연구, 상명대 석사학위논문, 2001
  8. 박태호, 서울장묘시설100년사, 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3
  9. 보건복지가족부, 2011 보건복지통계연보, 2012
  10. 양윤식,화장시설의 공간구성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9
  11. 엄기복, 대구광역시 시립공설묘지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2006 연구보고서 시민.복지분야, 2006
  12. 이선수, 국내 장제장 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석사학위논문, 2011
  13. 한종훈, 화장 납골 시설의 건축적 유형에 관한 연구, 한양대석사학위논문, 2000
  14. 한주연, 화장시설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