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pplication Statu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Barrier-Free Planning Concept in the Shared Spaces of Apartment Housing in First-Town of Sejong City

세종시 첫마을 공동주택 공용공간의 무장애 계획개념 적용실태 및 개선

  • 송애희 (충북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
  • 김미경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13.08.2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applying barrier-free planning concept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on problems as basic data to be used for directional guide in future designs and plans of a barrier-free housing complex, on the subject of the "First Town" apartment housing at Sejong city, which played a pivotal role in enforcing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for construction and make-up. A document research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specific planning concept, and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f barrier free. After observing the advanced research, the check-list was made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law of facility and advanced research. Case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the application status based on the planning concept of barrier free space in the shared spaces of apartment housing by using the check-list.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Accessibility' and 'Safety' were primarily applied to the housing complex as well as the building plan. However, concept of 'Distinguishment' showed a very low application level. This study shows that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guidelines for planning of apartment housing applied the Barrier-Free Planning Concept.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 무장애 공동주택단지 매뉴얼 개발, 한국토지공사 주택도시, 79, p.p. 165-176, 2003
  2. 권혜진, 노인층을 고려한 공동주택 가사 및 위생공간 무장애화의 과제와 범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 김명희, 중증지체장애인의 영구임대아파트 주거환경실태와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3(1), p.p. 95-112, 2008
  4. 김상운, 김은경, 박광재, 강병근,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주택계획의 장애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신축.증개축시의 장애물없는 주택 계획 원칙 및 설계기준연구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4), p.p. 3-14, 2009
  5. 김상운, 강병근, 성기창, 박광재, 윤영삼, 정은영, 시각장애인 주택의 실태 및 요구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5(1), p.p. 41-51, 2009
  6. 김용국, 공공부문 아파트 지구의 계획경향에 관한 연구: 2003 년 '선계획 후개발체제' 이후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 김인순, 이규일, 안성준, 이영환, 장애인의 실내생활특성 및 주거유형을 고려한 주거공간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2(4), p.p. 39-47, 2011
  8. 김인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세미나 발표자료, 2010
  9. 김인환, 공동주택 공용공간의 생활불편자 이용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김희옥, 고령자를 위한 집합주거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박광재, 성기창,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1(2), 2005
  12. 서희숙, 이상홍, 하재명, 지체장애인 편의시설 세부항목의 설치 현황분석 연구: 대구광역시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11), p.p. 81-88, 2006
  13. 성기창, 장애의 정의와 건축의 과제 및 책임 그리고 편의시설 설계,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7(12), 2001
  14. 성기창, 채철균, 장애인편의시설을 고려한 보편적 건축계획의 기본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9(2), 2003
  15. 오찬옥, 공동주택 거주 지체장애인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주거환경특성요인: 부산지역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2), 2001
  16. 윤영삼, 강병근, 성기창, 무장애 생활환경 구축을 위한 국내외 편의시설 관련법 비교분석,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6(2), p.p. 29-36, 2010
  17. 이규일,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축물 인증부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2
  18. 이특구, 이호성, 고령자주택 설계지침에 의한 아파트의 고령친화도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5(3), 9-20, 2009
  19. 이호성, 최찬환, 이특구, 국내외 무장애 주택건축의 국가표준에 관한 연구: 주방, 욕실 및 화장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7), p.p. 75-84, 2010
  20. 정은영,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건축계획적 변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1.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첫마을 MP보고서, 2007
  22. 차지언, 김민경, 박용환, 장애인 및 노인주거의 접근성과 이용성에 관한 국내외 건축기준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6), 2007
  23. 한국토지공사, 건국대학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만들기 연구소,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장애물 없는 도시.건축설계 매뉴얼, 2007
  24.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 사업 추진백서: 국제설계경기를 중심으로, 2007
  2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국토해양부 공고 제2008-427호, 일부개정 2010. 9. 16)
  26.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법률 제11443호, 일부개정 2012. 5. 23)
  27.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24061호, 일부개정 2012. 8. 22)
  28.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보건복지부령 제159호, 일부개정 2012. 9. 4)
  2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홈페이지 http://bf.koddi.or.kr
  30.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홈페이지 www.mac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