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the Octagonal Building from Three Kingdom to the Unified Shilla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Remains -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팔각 건물지의 성격과 역사적 전개 - 유구 비교를 중심으로 -

  • 안대환 (연세대학교 스마트공간연구원) ;
  • 김성우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13.08.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ctagonal buildings in the era of three kingdom and the unified Silla. There are 10 octagonal building remains of 20 polygon builing remains. The octagonal buildings are very important as the unique buildings style of Goguryeo. And the octagonal shape symbolized as eight signs of divination(八卦) of ancient religion and one of Buddhist doctrine in Korea and China. So the octagonal buildings had used as ritual building or Buddhist pagoda from 3rd Century of Goguryeo to the unified Silla. The octagonal Buddhist pagodas can find the origin from the twin remains of Goguryeo palace in Hwandosansung(丸都山城). The 4 of Goguryeo octagonal Buddhist pagodas had similar shape but the Yeongmyosa(靈廟寺) twin pagodas in the unified Silla was smaller than Goguryeo octagonal Buddhist pagodas. The other five buildings assume as multi-storied building. They did not have the foundation while The octagonal Buddhist pagodas had foundation. The first floor columns plan of buildings was difficult to use the space so upper floor might have used special purpose.

Keywords

References

  1. 이강근, 고구려 팔각형건물지에 대한 연구, 선사와고대. V23, 2005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 고대사지 비교연구(1)-목탑지편-, 2009
  3. 최광식, 한.중.일 고대의 제사제도 비교연구 - 팔각건물지를 중심으로-, 선사와고대.V27, 2007
  4. 김소형, 삼국시대 다각형건물형태의 발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6
  5. 조정식, 김버들, 韓國八角圓堂(願堂)石造浮屠의 建築的要素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권 6호, 2005년 06월
  6. 하코자키 카즈히사(箱崎和久), 일본에서 본 한반도 고대 목탑지, 한일문화재논총II, 2010
  7. 강병희,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한국사상사학, v36, 2010
  8.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集安市博物館, 丸都山城: 2001-2003년 集安丸都山城調査試掘報告書, 文物出版社, 2004
  9. 중앙문화재연구원, 경주 나정, 2008
  10. 한양대학교 박물관, 이성산성-3차 발굴조사 보고서,1991
  11. 경주고적발굴조사단, 경주 흥륜사지내 선원 신축예정지 발굴조사약보고, 1981
  12. 김정수, 6-9세기 신라목탑 형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논문, 2005
  13. 목포대학교박물관, 무안 양장리 유적, 1997
  14.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안성 망이산성 3차발굴조사보고서, 2006
  15. 이주형, 장석하, 한국고대가람 변천양상에 관한 불교사적 고찰, 건축역사연구 제 20권 1호, 2011.2
  16. 김성우, 고구려사지를 중심으로 고찰한 5세기전후 불사계획의 변화', 건축역사연구 제5권1호, 1996.6
  17. 강병희,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한국사상사학, v3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