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duel-Jip with Small Inner Court in Taeback Mountainous Region of GyeungBuk and GangWonDo

경북.강원 태백산간지역의 소규모 뜰집에 관한 연구

  • 유재우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 김미나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과) ;
  • 김경희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과) ;
  • 박윤금 (동주대학교 크루즈해양.인테리어학과) ;
  • 이형삼 (부산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13.08.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welling cultural mean of the longitudinal expansion Ddeulzip which are the small size examples with the court of the size width between three post. The basic reason on selection the small size Ddeulzip is owing to simplicity can be revealing of the essential housing. The scope of study is reduced to 33 houses in the Andong cultural area and the aroun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after the analysis on the number of bay between the posts, the roof shape and structure and plan construction on the Anchae and SarangChae area. 1)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Small-Sized Ddeulzip are summarized. 2) The most of the Small-Sized Ddeulzip are including to types of the Seoul-KyengKi but YoungDong or YoungNang region owing to the scale proportion of the roof and inner court. 3) The longitudinal-expansion Ddeulzip is known as the special example in the academic published, yet. But through this study is revelled that the longitudinal-expansion Ddeulzip is influenced with the lower traditional popular house type as the DurungZip or the YekanZip on the rounding mountainous area. And this means to the dwelling cultural corresponding event between classes in the late of Chosen Dynasty, as to increasing the the economic affording agricultural society class, since $18^{th}$ century. It has the another mean on the regional dwelling cultural corresponding between YoungDong area and Andong area.

Keywords

References

  1. 李鎬澈, 韓國史認識과 歷史倫理, 지식산업사, 1997
  2. 金泰永, 實學의 國家改革論,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 한국건축가협회, 한국건축개념사전, 동녘, 2013
  4. 김화봉, '조선시대 안동문화권의 뜰집에 관한 연구', 부산대박론, 1999
  5. 장성준, '안동토계동 주택유형에 관한 연구', 건축, 1978.4
  6. 송인호, 'ㅁ자형 전통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1982
  7. 서경태, '삼척지방의 민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84.4
  8. 서경태, '삼척지방의 민가에 관한 연구(I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87.12
  9. 문세영, 'ㅁ자형 전통주거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87.4
  10. 김화봉, 조성기, '안동문화권 '뜰집'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8.11
  11. 최장순, 홍대형, '동해 북평지역 뜰집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6.9
  12. 조성기, '태백산간지역의 민가형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9.1
  13. 김미령, 조성기, '영남 및 호남지역 부농층 전통주거의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1.6
  14. 최장순, '태백산간 여칸집과 두렁집의 공간확장에 따른 주거공간 구성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3.10
  15. 김경희, 유재우, 김미나, '전통주거의 계층간 주문화 교류에 따른 평면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6
  16. 유기원, 'ㅁ자형 주거를 중심으로 본 영남지역 주거문화 특성', 한국주거학회 학회지, 2010.10
  17. 김경희, 유재우, 김미나, 김화봉, '영동문화권 뜰집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