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iorated Hillside Residents' Needs and Preferences for Housing Estate Regeneration According to Level of Household Income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노후경사지 주민의 주거요구와 정비방식 선호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의 소득계층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 노세희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단지설계연구실) ;
  • 장한두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13.08.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ing needs and preferences for housing renewal among residents in deteriorated hillside according to level of household incom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February 2012. Participants were 1,746 residents who had lived in hillside or flat areas in Seoul, Korea. Residential satisfaction, housing needs and preferences for housing renew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level of household income were survey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y level of household income as lowest-income class, low-income class, and middle-income cla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ajor satisfaction factors were different among income level groups in hillside residents.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parking condition in lowest-income group, supporting facilities in low-income group, and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in middle-income group were the major factors. Lowest-income residents in hillside preferred to promote housing renewal projects and regulatory support system than residents in flat area.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plan hillside neighborhoods and hous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design guidelines and to reform regulations for practical designing.

Keywords

References

  1. 강무길, 신용재, 부산시 주거환경개선사업 현황 및 시행 후 거주민 만족도 조사-해운대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논문집 9(3), p.p. 105-112, 2007
  2. 강준모, 안형순, 도시경관개선에 있어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주택개량재개발사업의 비교연구, 환경개발연구논문집, p.p. 111-132, 2000
  3. 김성연, 양광식, 주택재개발사업 원주민 주거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연구, 주택연구 20(2), p.p. 213-230, 2012
  4. 김준형, 최막중, 소득계층별 자가소유의 자산증대효과, 주택연구 18(1), p.p. 5-26, 2010
  5. 김철수 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개발효과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 2(2), p.p. 77-89, 2003
  6. 김청원, 장희순, 노후주거지 정비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외국의 정비체계 및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4 (3), p.p. 183-212, 2006
  7. 김한수, 장몽현, 대도시 서민 주거지 환경실태와 주민의식-대구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4), p.p. 113-120, 2011
  8. 박정은, 최병선,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지정기준항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p.p. 179-190, 2004.
  9. 서수정, 성은영, 필지단위 주택정비 활성화 방안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10. 신중진, 장정화, 경관협정 활용에 의한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의 방향연구-서울시 경관협정시범사업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3), p.p. 187-198, 2012
  11. 이성명, 경사지 특성을 이용한 불량주거지 개선방안연구-부산시 양정2지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3), p.p. 105-114, 2001
  12. 이정규, 한국의 사회문제, 양지사, 2002
  13. 이지연, 이선구, 서울도심 경사지 불량주택 재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2), p.p. 545-552, 1997
  14. 이창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정책.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2), p.p. 189-198, 2012
  15. 이창호 외,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경사지 거점개발에 대한 지원방안, 국토계획 45(7), p.p. 133-146, 2010
  16. 임은선 외,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저소득층의 이주패턴 및 정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9
  17.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5호 p.p. 11-21, 2008
  18. 장한두,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신도시 주거환경의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4호, p.p. 45-56, 2010
  19. 정철훈, 우동주, 경사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계획적 방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97-104, 2011
  20. 진미윤, 지불능력을 고려한 주택소요계층 규명, 주택연구 8(2), p.p. 21-46, 2000
  21. 통계청, 2012 가계동향, 2012
  22. http://kosis.kr/nsikor/view/stat10.do#(2012년 2/4분기 소득분위에 따른 평균 월소득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