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보호구에서 마스크커버가 밀착계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k Covers on the Fit Factorsof Respirators

  • 한돈희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Han, Don-Hee (Department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발행 : 2013.09.30

초록

Objectives: 본 연구는 호흡보호구의 밀착도의 척도인 밀착계수 (FF)를 이용하여마스크에 마스크 커버를 씌웠을 때 호흡보호구의 밀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Methods: 3개 회사의 호흡보호구 (1개 1/4형, 2개 반면형)를 선정하여25의 피검자 (남자 16, 여자 9)에게 마스크 커버를 씌우지 않은 마스크와 씌운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고 정량적인 밀착도 검사 (QNFT)를 실시하여 밀착계수 (FF)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각 피검자에게 3번의 QNFT를 실시였으므로 한 마스크 당 씌운 것 75회, 씌우지 않은 것 75회, 150회를 시행하여 비교하였고 3개 마스크에 총 450회를 시행하였다. Results: 마스크 A (반면형)는 예상과는 다르게 마스크 커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FF값이 더 높게 나왔으며 (p<0.05), 마스크 B (1/4형)와 마스크 C (반면형)은 마스크 커버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FF가 높게 나왔다. 마스크 B는 마스크 커버와 관계없이 FF가 너무 낮아 밀착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반대로 마스크 C는 마스크 커버에 영향을 받았으나 FF가 매우 높게 나와 밀착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Conclusions: 본 연구 결과는 마스크에 자신의 마스크 커버를 씌울 경우 밀착에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FF만 가지고 실험했기 때문에 제한적이며 실제 작업현장에서 밀착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장보호계수 (WPF)를 이용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키워드

참고문헌

  1. AibaY, Kobayashi K, Suzuki J, Shimizu Y, Nishimura M, Sasaki N, Makino S, Utunomiya T.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use of dust respirators among lead workers in small scale companies.IndHealth 1995; 33: 35-42
  2.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practice for respiratory protection (ANSI Z88.2). New York: ANSI; 1969. p. 5-6
  3. Brown RC. Protection factor of respirators with special reference to dust respirator. JISRP 1992; 10:5-33
  4. BS EN 143:2000.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s. Particle filters. Requirement, testing, marking. London: British Standards House; 2000. p. 52
  5.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Respiratory Protection,"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9, Part 1910.134[online][cited 2013 Aug 20]; Available from: URL:https://www.osha.gov/pls/oshaweb/owadisp. show_document?p_id=12716&p_table=standards
  6. ChiaSE. A study on the usage of respirators among granite quarry workers in Singapore.Sing Med J1989; 30: 269-272
  7. Han D-H, Kang M-S.A survey of respirators usage for airborne chemicals in Korea.Ind Health2009; 47: 569- 577 https://doi.org/10.2486/indhealth.47.569
  8.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at work: a practical guide (reprinted with amends 2010). London: HSE Books. ISBN 978 0 7176 2904 6[online][cited 2012 Dec 10];Available from: URL: http://www.hse.gov. uk
  9.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HSE operational circular OC 282/28 (Version No 5) fit testing of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facepieces 2011. [online] [cited 2012 Dec 12]; Available from: URL: http:// www.hse.gov. uk
  10. Kim H, Kim H-A, Roh Y-M, Chang S-S. Current status of respirator usage and analysis of factors causing discontinued usage of respirator in the small-scale industries in Korea. Korean IndHygAssoc J 1998; 8: 133-143
  11. Myers WR, Peach MJ, Cutright K, Iskander W. Workplace protection factor measurements on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s at a secondary lead smelter: Result and discussion. AmIndHygAssoc J 1984; 45: 681-688
  12. Rajhans GS, Pathak BP. Practical guide to respirator usage in industry, 2nd ed.New York;Elsevier Science; 2002. pp. 99-101
  13. Spear TM, Hardgrove R, Norman JB, Wulf DT, Rossi RJ. The effects of strapped spectacles on the fit factors of three manufactured brands of full facepiece negative pressure respirators. Ann OccupHyg 1999; 43: 193-199
  14. Wallis G, Menke R, Chelton C. Workplace field testing of a disposable negative pressure half mask dust respirator (3M8710). AmIndHyg Assoc J 1993; 54: 576-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