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ognition Effectiveness of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BackGround Surface in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에서 배경휘도에 따른 유도등 인지효과 분석

  • 손종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 이수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 전규엽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13.07.25

Abstract

In the case of Daegu subway arson in 2003, it was found out that the evacuation system could not play its own role in the dense smoke and blackout during the fire. Due to the dense cloud of smoke and blackout, the people could not easily find the way out. Proper emergency light plan considere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vacuees is set up in such places, if so it will be a great help for evacuati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isual sense induces behaviors intuitively. So, effective evacuee guidance is implemented by installing various evacuation guidance devices (emergency lights and luminous egress guide-lines). In connection with this topic, Jeon Gyu-yeob(2011) carried out an on-the-spot experiment focused on changes in visual perceptional evacuation environment and evacuation abilitie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he carried out a study on changes in evacuation behaviors through visual perceptional restriction. However,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that has an effect on behaviors of evacuees and evacuation behaviors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ackground luminance of the emergency light induced to recognize the emergency light. Therefore, to produce a device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experiment, this study simulated evacu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136 people. The value of the result indicated by seek time of emergency light, evacuation time and emergency light cognition distance.

Keywords

References

  1. 홍원화, 전규엽, 대구지하철 화재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 안전피난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 p.241, 2005
  2. 임승빈, 환경심리, 형태론, 보성문화사, p.43, 1986
  3. 유재엽, 박물관 전시공간 탐색행동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2, 2011
  4. 김현지, 빛공해의 인식 및 문제점에 관한 조명전문가 의식조사, 조명.전기설비학회지 특집, 24(5), 2010
  5. 강경원, 주거공간에서 빛과 색이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6. 전규엽, 지하생활공간의 비상시 인간행동 및 인지특성을 고려한 피난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201, 2005
  7. 이진숙, 조명광원의 휘도 및 면적변화에 다른 불쾌글레어감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12), p.302, 2007
  8. 정진팔, 대규모 지하공간의 길찾기를 위한 디자인 요소 추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9. 이강훈, 인간행동패턴에 대한 고찰과 피난로 설계에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7), 1997
  10. 허만성, 건축물 내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재학회논문집, 5(3), p.70, 2005
  11. 김치환, 한국암반공학회, 터널과 지하공간, 4(2), 1994, p.191
  12. 정유근, 서울시 지하철 역사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8(3), 2004
  13. 강옥구, 장우진, 지하철 조명 환경 조사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8
  14. 김원우, 신인중,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글레어 광원의 등가크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10), 2005
  15. 이수진, 김진우, 휘도대비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6(2), 2007
  16. 전은명, 피난경로전달 유형별 인간행동특성 및 인지효과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7. Gyu-Yeob Jeon, Ju-Young Kim, Evacuation performance of individuals in different visibility conditions, Building and Environment, 46, 2011
  18. Taku Fujiyama, Investigating density effects on the "awareness" area of pedestrians using eye tracker, Centre for Transport Studies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