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Time-Series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sition Factors of Lot System Types in Hanok Residential Area - with Case Study on Inside and Outside of Seoul City Wall After 1970 -

한옥주거지 필지구조 유형별 구성요소의 관계에 대한 시계열적 비교 분석 - 서울 한양도성내외의 1970년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3.06.2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sition factors of lot system types in Hanok Residential Area, Seoul classifying into tree-type and grid-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between 1970 and 2011 in all lot system types, the bigger the area of lot, the width of road and the connectivity of road is, the longer length of the part meeting the road is. Also, the bigger the width of road is, the bigger area of lot is. Second, tree-type lot system is much different from grid-type in 1970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ization index of lot and direction of road and other factors in.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sition factors in tree-type lot system has changed, while the correlation in grid-type has hardly changed after 1970. Fourth, as regards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sition factors, the distinction between lot system types is much larger than the diachrony of type.

Keywords

References

  1. 건축물대장 및 토지대장(http://www.onnara.go.kr/)
  2. 서울시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폐지적도
  3. 서울시 항공사진(http://aerogisseoul.go.kr/)
  4.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시행령
  5. 김영수, 돈암지구(1940-1960) 도시한옥 주거지의 도시조직, 서울학연구, 22, 2004.
  6. 박기범, 최찬환, 건축제도 변화에 따른 일반주거지 도시조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10), 2003.
  7. 박병주, 주택지의 획지 및 가구의 적정규모 형상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2(2), 1987.
  8. 박성현, 조신섭, 김성수, 한글SPSS, SPSS아카데미, 2002.
  9. 박종현, 권영, 이채성, 일제강점기 신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7), 2006.
  10. 박훈, 정재용, 역사도시의 도시조직 특성과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5), 2009.
  11. 백선영, 안건혁, 역사문화지역의 가치평가를 위한 기준설정 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07.
  12. 백선영, 안건혁, 1970년 이후 서울 한옥밀집지구내 한옥 멸실의 특징과 물리적 조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12), 2011a.
  13. 백선영, 안건혁, 20세기 초 서울 필지분할의 과정과 물리적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1), 2011.
  14. 백선영, 안건혁, 서울 한옥주거지의 1970년 이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지 구조와 한옥 유형의 요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4), 2012.
  15. 백선영, 한옥 멸실의 유형형태학적 해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2012.
  16. 손세관, 신진희, 서울 주거지역내 주거블록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4), 2003.
  17. 송인호, 도시형 한옥의 유형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1990.
  18. 양승우,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조직 유형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1994.
  19. 양승우, 도시형태학 연구의 계보에 관한 시론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논문집, 31, 1997.
  20. 윤효진, 서울의 역사적 도심지성에 있어서의 도시형한옥의 분포특성 및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17, 2001.
  21. 임창복, 서울지방의 도시주거지 구조와 주거건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12), 2000.
  22. 장재일, 단독주택지의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도시설계전공, 2001.
  23. 전남일, 한국 주거의 공간사, 돌베개, 2010.
  24. 전병권, 서울시 단독주택지의 변화와 주거건축유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건축설계전공, 2004.
  25. 정석, 서울시 한옥주거지 실태 및 보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26. 정재용, 박훈,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2006.
  27. 정재용, 박훈, 도시공간의 특성에 따른 단독주택지의 유형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2), 2009.
  28. 조준범, 최찬환, 필지 분합을 통해 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2), 2003.
  29. M. R. G. Conzen, Alnwick, Northumberland : A Study in Town-Plan Analysis, Blackwell Publishing, 1960.
  30. N. J. Habraken, The Grunsfeld Variations, Department of Architectur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1.
  31. S. Marshall, Streets & Patterns, Spon Press, 2005.
  32. A. V. Moudon, The Evolution of Twentieth-Century Residential Forms : An American Case Study, Urban Landscape, Routledge, 1992.
  33. M. Southworth, P. M. Owens, The Evolving Metropolis : Studies of Community, Neighborhood, and Street Form at the Urban Edg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59(3),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