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 Utilization and Boundary Control of Court Banquets in the Era of King Sunjo and Heonjong - Focused on Court Banquet Uigwe -

순조.헌종조 궁중연향의 공간운용과 경계조절 - 궁중연향의궤를 중심으로 -

  • 경세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
  • 조재모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13.04.25

Abstract

Joseon, a Li(禮)-centered Confucian state, held court banquets to promote the crown stability and social integration, and Uigwe is the official record that was described on the special ceremonies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court banquets he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Uigwe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and Heonjong; and to consider how people understood and utilized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royal palace at that time. The era of King Sunjo and Heonjong that is selected as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a very important period. Because a new system of court banquets was set up at that time through holding a set of various events within one space under the same purpose and also the flexibility of palace space was tested and verified at the same time. The system and procedures of court banquets were complicated, and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existing court architecture was related to elements such as temporary structures, participants, and the like, within fixed ritual and spatial norms. Hence, we can understand the palatial space as ceremonial place in detail by analysis of the diverse components of court banquets and the process of holding them. It could b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 및 국역본.
  2. "東闕圖",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824-1827년경.
  3. "東闕圖形", 규9980, 규장각 소장, 1900년경으로 추정.
  4. "戊子進爵儀軌", 순조28, 奎14364.
  5. "己丑進饌儀軌", 순조29, 奎14370.
  6. "戊申進饌儀軌", 헌종14, 奎14372.
  7.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8. 김문식, 신병주,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9.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2001.
  10.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1.
  11.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12. 한국음악학 자료총서35,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 병풍", 국립국악원, 2000.
  13.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 문화_권1, 권2", 민속원, 2003, 2005.
  14.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15. 경세진, 합문을 통해 본 조선시대 궁궐의 내외개념 ,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6. 조옥연, 조선 궁궐의 동조건축에 관한 연구 -17-18세기 동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7.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8. 최지영, 조선시대 궁중의례에서 사용된 차일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19세기 이후 궁중연향을 중심으로- ,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변천", "동방학", Vol.6 No.-, 2000.
  20. 김종수, "외연과 내연의 의례구성과 특징I(II)-19세기-20세기초 의궤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29집, 2002(2003).
  21. 김종수, 1828년(순조28) 순원왕후 40세 경축 연향과 무자진작의궤 ,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1" pp.55-73, 2003.
  22. 김종수, "1848년(헌종14) 순원왕후 육순 경축 연향과 <무신진찬의궤>",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1", 2003.
  23. 김종수, "규장각 소장 연향 관련 의궤 고찰", "한국학보" 29권 4호, 2003.
  24. 김종수, "장서각 소장 조선시대 궁중연향악 문헌-순조대(1800-1834) 의궤를 중심으로-", 장서각, 1999.
  25. 사진실, "조선시대 궁정 공연 공간의 양상의 극장사적 의의", 서울학연구, Vol.- No.15, 2000.
  26. 신병주, "조선시대 의궤 편찬의 역사", "조선시대사학보" 54권, 2010.
  27. 조재모, "행사 의궤류의 건축 정보-진연, 진찬, 진작, 의궤를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