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Evaluation by Flow Conditions Using Load Duration Curve - in Youngbon A Watershed -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유량 조건별 수질특성 평가 - 영본A 유역을 대상으로 -

  • Park, Jinhwa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Kapso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Jung, Jaewo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wang, Kyungsup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Moon, Myungji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am, Sangi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im, Byungji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박진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김갑순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정재운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황경섭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문명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함상인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3.06.08
  • Accepted : 2013.07.31
  • Published : 2013.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using flow duration curve(FDC) and load duration curve(LDC) in Youngbon A watershed during 2009~2011. A flow rate and pollutant load in the study watershed were estimated by equation of stage-discharge and discharge-loads rating curve. From these methods, BOD, T-N, and T-P have evaluated whether water quality standards would have attained. Results showed that BOD loads of about 50% plotted above the LDC, while T-N and T-P loads of about 50% plotted below the curve. It means that BOD of about 50% have exceeded the water quality criteria, while T-N and T-P of about 50% have complied with the water quality standards. Meanwhile, BOD, TN and T-P loads plotted above the LDC of low flows, implying that they were more affected by point pollution sources than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study watershed.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우, 류지철, 강형식, 최재완, 문종필, 최중대, 임경재, 2012, 환경부 8일 유량.수질 자료를 이용한 SWAT 자동보정 모듈 개선 및 적용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8(2), 247-254.
  2. 건설교통부, 2004, 수문관측매뉴얼.
  3. 김민규, 2008, TANK 모형을 이용한 하천기준유량 산정방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4. 김상단, 강두기, 김문수, 신현석, 2007, 유역모형 구축을 위한 8일 간격 유량측정자료의 일유량 확장 가능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1), 64-71.
  5. 김상수, 이동윤, 한현진, 오해란, 문병헌, 2009, 마산만 유입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오염부하지속곡선의 개발과 적용,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9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요약집,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547-548.
  6. 김진수, 오승연, 김규성, 권순국, 2001, 관개기 광역논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 특성, 한국농공학회, 43(6), 163-173.
  7. 김재철, 김상단, 2007, 오염총량관리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 유황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3), 332-338.
  8. 김태근, 2006,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이용한 용담호 유입화천의 영얌영류 유입량 변동특성, 한국영향평가학회지, 15(2), 129-138.
  9. 박준대, 김진이, 류덕희, 정동일, 2010,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수질변화 유형분석 -낙동강수계를 대상으로-,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2), 279-288.
  10. 박진환, 임병진, 정재운, 김대영, 오태윤, 이동진, 김갑순, 2012, 유량변동에 따른 탐진 A와 B 유역에서의 오염물질 유출 특성, 한국영향평가학회지, 21(6), 917-925.
  11. 박지형, 2007, 유역형상과 수리 특성을 고려한 경험론적 유달부하 산정,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2. 박지형, 손수민, 류덕희, 2011, 경험식과 요인분석을 통한 오염물질 유출 특성 연구-남한강 상.하류 수계 주요 하천을 중심으로-,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7(6), 905-913.
  13. 이상욱, 2010, 남강댐 유역의 유출량과 오염 부하량 상관관계 해석, 석사학회논문, 경상대학교.
  14. 이형진, 공동수, 김상훈, 신기식, 박지형, 김병익, 김성미, 장승현, 천세억, 2007, 남한강수계 저수기 수질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6), 889-896.
  15. 장주형, 이형진, 김현구, 박지형, 김지호, 류덕희, 2010,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웜 부하량 정량화를 위한 수질-유량 모니터링 개선,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5, 860-870.
  16. 전라남도(2005). 전라남도 영산강수계 제1단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17. 전라남도(2010). 전라남도 영산강수계 제2단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18. 정재운, 윤광식, 주석훈, 최우영, 이용운, 류덕희, 이수웅, 장남익, 2009, 회귀식을 이용한 황룡A 유역에서의 유황별 유달율 산정,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6), 25-31. https://doi.org/10.5389/KSAE.2009.51.6.025
  19. 정재운, 조소현, 임병진, 오태윤, 함상인, 김갑순, 2012, SWAT-CUP을 이용한 8일간격 유량 측정자료의 일유량 확장 가능성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8(4), 595-600.
  20. 최경완, 신경용, 이형진, 전상호, 2012a, 부하지속 곡선을 이용한 중랑천의 유량 조건별 수질특성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8(5), 438-447.
  21. 최경완, 이형진, 홍창수, 신경용, 권필상, 방규철, 2012b, 실측유량을 이용한 흑천수계의 부하 지속곡선 적용,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2012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확회, 804-805.
  22. 최동호, 정재운, 이경숙, 최유진, 윤광식, 조소현, 박하나, 임병진, 장남익, 2012, 유량-부하량관계식을 이용한 주암호 외남천 유역의 유황별 유달율 산정, 한국환경과학회지 21(1), 31-39.
  23. 최한규, 백경원, 최용목, 오기호, 2002, 유량변동에 따른 소양강유역 수질의 통계학적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2), 117-124.
  24. 최현구, 한건연, 최승용, 2011, 낙동강 상류 유역에서의 유량변동에 따른 수질의 통계학적 분석, 환경영향평가학회지, 20(6), 833-843.
  25. 한수희, 신현석, 김상단, 2007, 낙동강 유역관리를 위한 부하량 유황곡선의 적용 가능선,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5), 620-627.
  26. 환경부(2008).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7. 환경부, 2010,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28. 황하선, 박배경, 김용석, 박기중, 천세억, 이성준, 2011, 수질오염총량 단위유역의 목표수질 당성여부 평가를 위한 부하지속곡선 적용성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7(6), 885-895.
  29. 황하선, 윤춘경, 김지태, 2010, 수질오염총량 단위 유역의 유량조건별 수체 손상평가를 위한 부하지속곡선 적용성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6), 903-909.
  30. Cleland, B. R., 2003, TMDL Development from the "Bottom up"-part III: Duration Curve and Wet Weather Assessment, National TMDL Science and Policy 2003-WEF Specialty Conference, Chicago, IL.
  31. Eisete, M., Kiese, R., Kramer, A., and Leibundgut, C., 2001, Application of a catchment water quality model for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nitrogen budgets, Phys Chem Earth(B), 26(7), 547-551. https://doi.org/10.1016/S1464-1909(01)00048-X
  32. Francos, A., Bidoglio, G., Galbiati, L., Bouraoui, F., Elorza, F. J., Rekolsinrn, S., Manni, K., and Granlung, K., 2001,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modelling in a medinu-sized coastal basin, plys Chem Earth(B), 26(1) 47-52. https://doi.org/10.1016/S1464-1909(01)85013-9
  33. Gallagher, M., and Doherty, J., 2005, Parameter estim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for a watershed model,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1-21.
  34. Sugawara, M., 1995, Tank model, in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164-214.
  35. Tsihrinzis, V. A., and Hamid, R., 1998, Runoff Quality Pre-diction from Small Urban Catchments using SWMM, Hydrological Process, 12, 311-329. https://doi.org/10.1002/(SICI)1099-1085(199802)12:2<311::AID-HYP579>3.0.CO;2-R

Cited by

  1. Water Pollution Source Tracing Using FDC and Correlation Analysis in Geumho River Basin vol.18, pp.3, 2016, https://doi.org/10.17663/JWR.2016.18.3.232
  2. A Study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Targets and Evaluation of Target Achieve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 Saemangeum Watershed vol.37, pp.8, 2015, https://doi.org/10.4491/KSEE.2015.37.8.480
  3. Development of Desktop-Based LDC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ness TMDLs vol.58, pp.4,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4.067
  4. A Study on Selection Method of Management Watershed for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at Tributary vol.32, pp.6, 2016, https://doi.org/10.15681/KSWE.2016.32.6.528
  5. 부하지속곡선(LDC ; Load Duration Curve)을 활용한 낙동강수계 오염총량 단위유역 목표수질 평가방법 적용 방안 vol.26, pp.4, 2017, https://doi.org/10.5322/jesi.2017.26.4.433
  6. 시계열 부하 곡선을 이용한 수체손상 평가 및 다변량 분석 -지석천 유역을 대상으로-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5681/kswe.2017.33.6.650
  7. 서화천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부하지속곡선 적용성 연구 vol.23, pp.3, 2020, https://doi.org/10.11108/kagis.2020.23.3.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