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Investigation into Original Form of Natural Monument No.404 Orijangnim in Jacheon-ri, Yeongcheon

천연기념물 제404호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의 원형 규명

  • Lim, Won-Hyeon (Dep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Haany University)
  • 임원현 (대구한의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about prototype conservation of the Orijangnim, natural monument No. 404. For this study, March to August 2010, was a literature surveys and field research, and based on this, the Delphi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experts meeting were diagnosed with forest back ground, spatial extent, in the form of forests, flora and vegetation of the surrounding area, so examined closely the original form. Range of the Orijangnim was presumed from Jacheon middle school entrance($N36^{\circ}05^{\prime}59.9^{{\prime}{\prime}}/E128^{\circ}54^{\prime}32.9^{{\prime}{\prime}}$) to Odong of Hwabukmyeon village entrance($N36^{\circ}05^{\prime}31.0^{{\prime}{\prime}}/E128^{\circ}54^{\prime}32.5^{{\prime}{\prime}}$). The Orijangnim in the original form of the existing forest surrounding the village along gohyeon river going back a long S-shaped about 2km is considered.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consist of total 198 taxa : 2 forms, 20 varieties, 179 species, 152 Genera, 72 Families. Most of the 60 kinds of large land plants lots of whole plants accounted for 33.3%. A main vegetation of the Orijangnim have been distributed 473 objects of 21 species, and evergreen conifers is 19% to 92 objects, on the other hand, deciduous broadleaf tree is 79% to 373 objects, so the Orijangnim can be maxed forest that deciduous broadleaf tree is dominant. When consider the composition purpose of forest, environment of location, tree size, surrounding flora and vegetation, because an original vegetation of Orijangnim is suggested Zelkova serrata, Salix glandulosa, Celtis sinensis Pers., Quercus variabilis, Quercus acutissima , Sophora japonica L., Cornus walteri Wanger. we must restore around such species of tree. Cedrus deodara (Roxb.) Loudon, Chaenomeles sinensis, Prunus yedoensis Matsum., Ginkgo biloba , Pinus thunbergii Parl.,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is considered to have been planted in the last.

본 연구는 훼손진행이 심각한 천연기념물 제404호 오리장림의 원형 보존 및 복구를 위한 종합적인 진단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0년 3~8월에 걸쳐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과 전문가와의 간담회 등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숲의 성립배경, 공간적 범위, 숲의 형태, 주변지역의 식물상 및 식생 등에 대한 진단과 고찰을 통하여 오리장림의 원형을 규명하였다. 오리장림의 범위는 자천중학교 입구($N36^{\circ}05^{\prime}59.9^{{\prime}{\prime}}/E128^{\circ}54^{\prime}32.9^{{\prime}{\prime}}$)에서 화북면 오동마을 입구($N36^{\circ}05^{\prime}31.0^{{\prime}{\prime}}/E128^{\circ}54^{\prime}32.5^{{\prime}{\prime}}$) 영역대로 추정되었다. 오리장림의 원형은 현존하는 숲에서 고현천을 따라 마을을 감싸고 돌아나가는 좁고 긴 S자 형태로 2km 정도 조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72과 152속 176종 20변종 2품종 등 총 198분류군의 소산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육상식물(M)이 60종으로 가장 많고, 이는 전체 식물의 33.3%를 차지하였다. 오리장림을 구성하는 주된 식생은 21종 473개체가 분포하고 있으며, 상록침엽수는 92본에 19%를 차지하는 반면, 낙엽활엽수는 373본에 79%를 차지하여 오리장림은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혼효림이라고 할 수 있다. 주변의 식물상 및 식생, 수목의 크기, 오리장림의 입지환경, 숲의 조성목적 등을 고려해 볼 때 오리장림의 원식생은 느티나무, 왕버들, 팽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회화나무, 말채나무였던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러한 수종을 중심으로 복원하여야 할 것이다. 히말라야시다, 모과나무, 왕벚나무, 은행나무, 해송, 현사시나무 등은 근래에 식재된 수종인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2007). 국가식물표준목록. 국립수목원보고서.
  3. 김덕현(1986). 傳統村落의 洞藪에 관한 硏究: 安東내앞 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29-45.
  4. 김용수, 임원현(1996). 都市域巨樹木의 殘存形態와 그 效用性에 關한 硏究. 한국조경학회지. 63: 14-28.
  5. 김철환(2000). 자연환경평가: I.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 163-198.
  6. 김학범, 장동수, 박복조(2008). 전통 마을숲 복원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42-50.
  7. 문석기, 이동근, 김남춘, 이규석, 남상준, 윤소원, 강명수, 예경록 공역(2004). 생태공학. 서울: 도서출판 보문당.
  8. 문화재청(2003).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9. 박재철, 김병섭, 윤성호, 박선미(2004).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 전북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3): 27-32.
  10. 석대권(2008). 민속문화자원으로서 마을숲의 활용방안. 경상북도 마을숲조사 학술심포지엄발표자료. pp.61-100.
  11. 석대권, 김무진, 홍성천, 박재홍, 권용정(2008). 경상북도 마을숲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보고서.
  12. 신진동(2008), 조선시대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안영희, 박은진, 최창용(2009).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마을숲의 생태적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8(5): 527-538.
  14. 유종덕(2010), 傳統裨補景觀의 樣相과 特性에 關한 硏究.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윤영활, 김용수, 임원현, 나정화(1996). 노거수목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4(2): 1-17.
  16. 이경락, 서상현, 조상범(2010). 경북 북부지역 마을숲의 실태 연구: 안동시, 예천군, 봉화군지역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8: 128-135.
  17. 이경준(2006). 한국의 천연기념물(노거수편). 서울: 아카데미서적.
  18. 이명훈, 김용식, 신현탁(2009).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577-584.
  19. 이승제(2009).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서울.인천.경기지역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문화재. 42(1): 88-99.
  20. 임의제, 이수동, 김미정(2013). 통영 수월숲의 인문학적 특성 및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1): 85-98.
  21. 천인호(2009). 풍수 비보의 측면에서 본 '서울숲'. 정신문화연구. 32(4): 221-245.
  22. 최원석(2001). 嶺南地方의 裨補邑藪에 관한 硏究. 문화역사지리학회지. 13(2): 103-117.
  23. 최재웅, 김동엽(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24. 최재웅(2009).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문화재. 42(1): 188-209.
  25. 호연건축문화유산연구원(2010).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복원.정비계획. 영천시 보고서.
  26. 환경부(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보고서.
  27.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II. Berlin: Gebruder Borntrae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