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of the Natural Monument (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오해성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Oh, Hae-S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발행 : 2013.09.30

초록

본 연구는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Z.-M. 학파의 방법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비자나무 숲에 대한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비자나무 숲은 수평적으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역의 저지대 및 구릉지에 발달하고 있었다. 총 50과 80속 95종으로 구성되어진 비자나무 숲은 종조성에 의해 비자나무-상산군락의 전형하위군락,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였다. 3~4층으로 구성된 비자나무 숲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과거 간벌이후 일제히 재생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을 특징짓는 진단종군으로 구성되어진 것이 특기되었다. 또한 임상의 경우 소엽맥문동, 십자고사리, 큰천남성 등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으며, 임연식생의 주요 구성종으로 대표되는 주름조개풀이 높은 기여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비자나무 숲이 지속적으로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자나무의 치수는 반음지, 음지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또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삼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쇠퇴시킬 가능성이 큰 강도간벌 대신에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교목수종을 간벌하되, 아교목 및 관목수종을 대상으로 밀도조절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비자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관리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arried out a phytosociological research by Z.-M. school's method describing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about nutmeg tree's(Torreya nucifera ) forests. The nutmeg tree's forests have developed intervale and hills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zone. The nutmeg tree's forests composed 50 familly, 80 genus, 88 species divided two syntaxa(typical sub-community, Arachniodes aristata sub-community) by species composition and correspond to habitat condition. The nutmeg tree's forests show a uniform forest's structure which composed 3~4 layer of sub-tree and shrub. And it was worthy of special mention which characterized diagnostic species of Camellietea japonicae in the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case of forests floor, were a high rate in order of Ophiopogon japonicus, Polystichum tripteron, Arisaema ringen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which represent mantle communities as well. This indicates that the nutmeg tree's forests are exposed by humman effects sustainedly. The nutmeg tree's young trees appeared a high rate at half shade and shade. The vigorous tree species have to spacing cutting instead of the heavy thinning that consist in with a shout of declining astructur and function of the forest ecosystem for maintaining a nutmeg tree's forests. And we suggest for the density regulation of the sub-tree and shrub. In conclusion, need to the continuous monitoring about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olution for the sustainable nutmeg tree's fore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문홍(2000). 제주도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종원(2006).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3. 김종원, 이득임, 김원(1995). 소나무림 및 신갈나무림의 최소면적과 군락구조. 한국생태학회지. 18: 451-462.
  4.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서울: 월드사이언스.
  5. 박문수(2007). 개천산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육환경.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1): 15-25.
  6. 박수현(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 일조각.
  7. 신현철, 이광수, 박남창, 정수영(2010). 한반도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 한국임학회지. 99(3): 312-322.
  8. 이상길(2010). 제주도 구좌읍 비자림의 생물상.생장특성.무육강도에 따른 식생변화 및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 수목보호. 15: 41-51.
  9. 이우철(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서적.
  10. 이주영, 장규관, 장석기, 정진철(1996). 내장산 비자나무림의 구조와 동태 II. 논문집. 31(2): 101-106.
  11. 이창복(2006).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12. 정세명, 진승현, 김민희, 백경수, 김종영, 안영상, 안기완(2013).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보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1): 71-84.
  13. 조화룡, 김갑철, 김점득, 박경석, 손수영, 손인옥, 송언근, 신윤호, 오화자, 우병영, 원진희, 윤순옥, 이금삼, 이기은, 이윤화, 이종남, 전미혜, 정동준, 황상일(2006). 한국의 지형발달과 제4기 환경변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14. 최병기(2013). 한국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한국수목보호연구회(1999). 구좌읍 비자림지대 보존 및 정비대책. 수목보호 5: 3-20.
  16. 한동욱(1995) 내장산 비자나무림의 구조와 동태 I.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농대논문집. 18: 107-119.
  17. Braun-Blanquet, J.(1965). Plant Sociology. New York: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18. Haraguchi, K.(1931). Geology of Saishu(Jeju) island. Bulletin of Geological Survey of Korea. 10: 1-34.
  19. Kim, J. W. and Y. I. Manykyo(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s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 391-413.
  20. Kim, J. W.(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Dissertation of the University of Vienna.
  21. Li, B., B. K. Park., D. Kim, and H. J. Woo(1999). The geological age and paleoenvironment of the lower Seguipo Formation, Cheju island, Korea. Geosciences Journal. 3(4): 181-190. https://doi.org/10.1007/BF02910489
  22.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1978).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 H. Whittac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Dr. W Junk by Publisher. Hague, Boston, London.
  23. http://www.nature.go.kr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4. http://www.kma.go.kr/ (기상청)
  25.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6. http://www.theplantlist.org (The Plant List)
  27. http://www.kigam.re.kr/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