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uilding Uses Change of the Surrounding Areas Result from the Development of Mixed-Use Complex in Seoul

복합용도개발에 따른 주변지역 건축물 용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3.01.25

Abstract

Because of the rapid urbanization, the decline of the city center and lack of infrastructure occurred.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mixed-use complex owing to a variety of features which can be used simultaneously as a means of urban regeneration. Since 2000, variety of mixed-use development is being made in Korea. There are many recent examples of mixed-use development that is performed mainly to the large-scale development. Particularly the case of Seoul, concurrent development is underway for local economy. Unlike the single-use development, mixed-use development includes a variety of facilities and elements will affect the active region, and it would effect on the surrounding areas. Preceded by a variety of research on mixed-use development so far, but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about the impact of enforced according to the mixed-use complex development in terms of building uses in the surrounding areas. In this study, known as a means of urban revitalization, mixed-use complex development made actually impact the surrounding area land-uses before and after by the change of building uses. It has been presented and examined in terms of analysis. It also provide the basic patterns to predict changes in uses. This kinds of research findings can propose the guidelines for the planning direction of future mixed-use complex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최유란, 이명훈, 전병혜, 2009, "MAS를 이용한 대규모 복합개발의 주변상권에 대한 파급효과 분석: 청량리 균형발전촉진지구 및 왕십리역 민자역사개발지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4(1): 31-43.
  2. 안지상, 2011, "복합용도개발이 인근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Working paper series", 11(15): 1-13.
  3. 안희선, 2009, "국내 대형복합상업시설의 도시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희철, 정재용, 2007, "복합용도개발과 도시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27(1).
  5. 김의준, 최명섭, 배유진, 이혜승, 2009, "입체복합개발의 공간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25(4): 149-166.
  6. 임병호, 이건호, 지남석, 2011, "지하철 개통 이후 지방 대도시 역세권의 토지이용 변화 및 특성", "국토계획", 46(3): 179-191.
  7. 김종주, 2010, "복합민자역사 개발이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홍경구, 김도년, 2005, "대학로 지역특화정책이 건축물 용도변화에 미친 영향", "국토계획", 40(7): 87-99.
  9. 정승헌, 이양재, 2003, "대형할인점 입지에 따른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국토계획", 38(3): 99-116.
  10. 박종서, 안건혁, 2006, "수원민자역사 개발 전.후 역세권의 토지이용 및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년 학술대회발표집.
  11. 고종옥, 2008, 서울시 산업구조변화에 따른 건축물 시장수요와 용도변경의 구조적 변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강병서, 김계수, 2009, SPSS 17.0 사회과학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13. 서울시 건축물대장 http://www.minwon.go.kr
  14. 서울시 토지정보열람 http://klis.seoul.go.kr
  15. 서울시 통계청 http://stat.seoul.go.kr/
  16.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