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 Outdoor Space Composition in Jung-Dong District, Seoul - Focusing on the Outdoor Space Composition in Large-scale Lots -

서울, 정동지역의 도시구조와 외부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형필지 내 외부공간구성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3.01.2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n extension of the study to understand Seou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essences of urban structure & outdoor space composition, to reveal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Jung_Dong, where is distinct from other areas of Seoul. For the study, we use basically the framework of analysis which was used in previous studies about Seoul, and analyse Jung_Dong dividing history in 3 parts according to historical event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contexts and the components who consist urban structure. In particular, analysing the large-scale lots who have the strong influences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of Jung_Dong, we reveal the ess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outdoor space composi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Jung-Dong, where th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occurred, the large-scale lots have the atypical forms according to the topography and the boundari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 levels. The functional characters and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large-scale lots play important roles in characterizing urban outdoor spaces & structures and maintaining them without significant changes to the present. The buildings constructed on the large-scale lots are inner-directed rather than road-directed and the group of buildings placed make outdoor spaces with various forms & scales. Thes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s make outdoor spaces with a continuous flow and various spatial possib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相田武文, 도시디자인의 계보, 도서출판 발언, 2002
  2. 김정동,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발언, 2004
  3. 알도로시, 도시의 건축, 동녘, 2003
  4. 김성홍, 도시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현암사, 2009
  5. 문화관광부, 문화의 거리 활성화 방안과 사례, 1993
  6. 서울학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대한제국기 정동을 중심으로한 국제교류와 도시건축에 대한 학술연구, 2011
  7. 손영우, 신합리주의 건축론에 입각한 도시설계의 원리, 이론,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전현주, 도심 속의 섬 정동의 열림을 통한 소통의 제안,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9. 최원석, 서울 정동지역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손세관, 한기정, 유형적 형태학의 연구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2권, 6호, 1996
  11. 김정동, 근대 이후 서울 '정동동역'의 변천에 대해서, 건축역사연구, 12권, 2호, 2003
  12. 최원석 외 1인, 서울 정동지역의 장소형성구조 변화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1999
  13. 김수정 외 1인,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6호, 2006
  14. 성우철, 서울 인사동길의 도시구조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6권, 제12호, p.p. 253-261, 2010
  15. 성우철, 명동 지역의 도시구조 특성에 따른 건축공간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7권, 제1호, p.p. 203-212, 2011
  16. 성우철, 남대문시장 지역의 도시건축적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4권, 제1호, pp.131-141, 2012
  17. 이호정, 김인철, 시간경험이 통합 가능한 장소로서의 정동 내지역건축역사 전시관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23권, 1호, 2003
  18. http://gis.seoul.go.kr/Information/Pavilion.jsp# 서울지도, 역사박물관 제공
  19. http://urban.seoul.go.kr/index.html,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홈페이지